[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청와대는 지난 9월 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종전선언’을 언급한 것을 두고 “북한 리더십 차원에서 종전선언에 대한 관심을 대외적으로 표명한 것은 의미가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 3일(현지시간)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순방 마지막 일정인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기자들을 만나 “문 대통령이 언급한 북한 산림복원과 한반도 종전선언 등에 대해 별도로 북한과 진행 중인 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묻는 기자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은 여러 차례 종전선언에 관해 입장을 표명했다”며 “그 중 김정은 위원장이 대외적으로 종전선언에 대해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종전선언 당사자는 한국 외에 미국과 북한이라고 전제하고 미국과 “종전선언을 포함한 대북 관여방안에 대해 긴밀하게 협의를 해왔다”고 한미 공조를 강조하며 “미국과 북한 간에 협의를 가질 수 있도록 한국에서 나름대로 역할을 계속해 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한반도의 불안정한 정전체제를 공고하고 항구적인 평화체제로 바꿔 나간다면 한반도 평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것이 우리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종전선언에 관한 한미 간의 문안이라든지 협상 전략이라든지 계속 협의한 기초 위에서 북한과 협상을 할 수 있는 여지를 찾아보고자 한다”는 구상도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문 대통령이 헝가리·슬로바키아·체코·폴란드 등 비세그라드 그룹(V4) 정상회의를 통해 종전선언 등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지지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이에 앞서 지난 9월 29일 평양 만수대 의사당에서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종전을 선언하기에 앞서 서로에 대한 존중 보장과 함께 ‘이중적 태도’ ‘적대시 관점·정책’ 철회가 불변한 요구”라며 “북남관계를 수습하고 앞으로 밝은 전도를 열어나가기 위해서도 선결돼야 할 중대과제”라는 입장을 밝혔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