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지난 10일 방위력 강화를 내세워 국가안전보장전략 개정을 추진할 뜻을 분명히 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저녁 도쿄 시내 지요다구 나가타초에 위치한 총리 관저에서 열린 제2차 내각 출범 기자회견에서 국가안전보장전략 개정과 관련 “국가안보회의(NSC)에서 철저히 논의해 방위력 강화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현행 국가안전보장전략은 제2차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 출범 초기인 2013년 12월 작성된 것이다.
기시다 총리는 이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회담을 위해 “가능한 한 조기에 미국을 방문하겠다”고 말해 연내 미일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내비쳤다.
기시다 총리는 외교 정책으로 주변국인 중국과 러시아를 상대로 ‘의연'(毅然)한 외교’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으나 외교 현안이 쌓여 있는 한국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기시다 총리는 또 민감한 이슈인 평화헌법 개정과 관련 국회 차원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당 체제를 강화하라고 자민당에 지시했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이 가장 중요한 국정 과제라고 또 다시 강조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와 관련 “납치 피해자의 하루라도 빠른 귀국을 실현하기 위해 조건을 붙이지 않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직접 만나고 싶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이에 앞서 지난 10월 4일 1차 기시다 내각 출범 기자회견에서도 같은 취지의 언급을 했었다.
기시다 총리의 이날 기자회견은 자민당 간사장으로 지명된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전 외무상의 후임으로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를 원포인트로 임명하면서 2차 내각 출범이 이루어진 데 따른 것이다.
기시다 총리는 자민당의 실세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와 아소 다로(麻生太郞) 당 부총재가 하야시 신임 외무상이 2017년 12월부터 일중(日中)우호의원연맹 회장을 맡은 점을 들어 “대중 관계에서 국제사회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임명을 반대했으나 그대로 강행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나루히토(德仁) 일왕으로부터 제101대 총리 임명장을 받았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 10월 31일 실시된 선거에서 중의원이 새롭게 구성됨에 따라 이날 열린 특별의회에서 다시 총리로 선출되는 절차를 거쳤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기시다 총리에게 축하 서한을 보내 한일관계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는 뜻을 밝혔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변인은 “정부는 일본의 새 내각과 소통과 협력 정신을 토대로 양국 간은 물론, 코로나19와 기후변화 대응 등 글로벌 현안에 대처하기 위해 서로 지혜를 모아 해결 노력을 계속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