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봉수대. 서울 목멱산 봉수대의 원형이다.
수원화성 봉수대. 서울 목멱산 봉수대의 원형이다.

[국방신문=주복식 문화전문기자] 봉수대(烽燧臺)는 고려·조선 때 봉화를 올려서 급한 소식을 알리던 통신시설이다.

오랫동안 사용하던 봉수제도는 통신체계가 발달한 갑오경장 시기(1895년)에 전보체계가 정립되면서 폐지되고 시설들은 철거돼 일부만 남아 있다.

서울 정도 600년 기념으로 1994년에 목멱산, 아차산, 무악산 봉수대를 복원했다. 약 30리 정도의 거리마다 봉수대를 설치했다. 대략적인 굴뚝 높이는 10자 이내이며 요즘 복원된 봉수대는 이를 따른 것이다.

조선시대 봉수망. 녹색의 5개는 주봉로이며 빨간색은 보조 봉수로이다. 마지막은 중앙의 서울 목멱산으로 종합된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1쪽)
조선시대 봉수망. 녹색의 5개는 주봉로이며 빨간색은 보조 봉수로이다. 마지막은 중앙의 서울 목멱산으로 종합된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1쪽)

봉수대 현황

정확한 봉수대 현황은 현재로서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많은 지역에 봉수대나 봉화대 명칭이 많이 남아 있다.

조선 봉수망에서 중요도로 구분하여 5개를 보면, 1. 함경도 동해안선 2. 경상도 부산선 3. 강계, 평양 중부선 4. 평안도 의주 서해안선 5. 전라도 남해안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확한 숫자는 필요에 의하여 지방관이 조정하여 다르다. 증보문헌비고에 보면 전국에 5개로의 직봉 봉화로와 간봉 봉화로가 620여기가 있었다. 군인들이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힘든 노역으로 나태해져 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에는 효과를 보지 못했다. 적군이 미리 무력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송나라 사신 서긍이 쓴 고려도경에 중국 송나라에서 흑산도로 오면 해안가의 봉수로 쉽게 서울 개경까지 찾아갔다는 기록이 있어 정상적 봉수 임무를 수행한 것으로 보이며, 등대의 길잡이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봉수가 5개로, 하나는 평상시 두 개는 적을 발견할 때, 세 개는 적이 국경에 접근했을 때, 네 개는 적이 국경을 침범했을 때이고, 다섯 개는 적과 아군이 전투시 봉화를 올린다.

잘못의 처벌규정도 높다. 전투 중인데 봉화를 못하면 수령과 봉수군은 사형이고, 적이 나타났는데 봉화 못하면 수령이나 봉화군은 장을 70~80대를 때렸다.

목멱산 봉수대는 갑오경장 다음해인 1895년 5월 9일(양력 7월 1일)까지 500여년을 유지했다. 현재 봉수대는 1994년 서울 정도 600년을 기념해 화성봉수대를 참고하여 복원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목멱산 봉수대에서 봉수의식을 실시했지만 요즘은 못하고 있다. 
목멱산 봉수대는 갑오경장 다음해인 1895년 5월 9일(양력 7월 1일)까지 500여년을 유지했다. 현재 봉수대는 1994년 서울 정도 600년을 기념해 화성봉수대를 참고하여 복원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목멱산 봉수대에서 봉수의식을 실시했지만 요즘은 못하고 있다. 

통신의 중요성

삼천리 강토에서 변방지역에서 일어나는 적의 침략을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체계를 유지하고 훈련이 필요하다.

최초 적이 침략했을 때 전달 내용이 제대로 전달되려면 평상시 훈련이 필요하다. 5개의 봉수로 적정을 전달하는 것이 체계적으로 구분되고 교육이 되어야 한다. 구름, 바람, 비, 안개 등 날씨에 따라 포성(砲聲)과 각성(角聲, 나팔 종류)으로 전달하였다.

적정을 잘 파악하여 대비를 잘하면 전투에 승리하는 것은 기본이다. 만약 부산에 일본군이 쳐들어오면 봉수로 전달하면 어떻게 될까. 현재 상황으로는 상상하기 어렵다.

봉수대가 없어지고 전보 통신으로 대체되고 전화로, 팩스로, 메일로 진화됐다. 앞으로 어떻게 변할까? 멀리 떨어진 곳의 상황 등 정보를 누가 빨리, 정확하게 아느냐가 승리의 관건이다.

화성 봉수대로 외벽 안의 모습이다.
화성 봉수대로 외벽 안의 모습이다.

 

수원화성 봉수대로 성벽 안쪽에서 바라본 모습. 화성은 1796년에 완성됐다.
수원화성 봉수대로 성벽 안쪽에서 바라본 모습. 화성은 1796년에 완성됐다.
 
화성 밖에서 바라본 모습.
화성 밖에서 바라본 모습.

 

봄날에 화성 성벽에서
봄날에 화성 성벽에서

 

화성 성벽 밖에서 바라본 봉수대 
화성 성벽 밖에서 바라본 봉수대 
아라뱃길 자전거 도로에 있는 봉수마당의 봉수대로 백석교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백석산의 봉수대를 상징해 주변에 설치한 것이다.
아라뱃길 자전거 도로에 있는 봉수마당의 봉수대로 백석교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백석산의 봉수대를 상징해 주변에 설치한 것이다.

 

무악산 봉수대
무악산 봉수대
무악산 봉수대에서 바라본 목멱산(남산) N타워가 보인다. 직선거리는 약 6KM이다. 봉수대 간격으로 약 삼십리로 되어 있으나 현재보다는 먼지가 많지 않아 가시거리가 좋았을 것이라 보인다.
무악산 봉수대에서 바라본 목멱산(남산) N타워가 보인다. 직선거리는 약 6KM이다. 봉수대 간격으로 약 삼십리로 되어 있으나 현재보다는 먼지가 많지 않아 가시거리가 좋았을 것이라 보인다.
무악재 봉수대를 찾은 관람객이 인왕산을 기리키고 있다.
무악재 봉수대를 찾은 관람객이 인왕산을 기리키고 있다.
아차산 봉수대로 1994년 서울정도 600년 기념으로 무악산 봉수대와 목멱산 봉수대와 함께 복원했다. 오른쪽에 있는 건물은 봉화산 도당으로 주민들의 안녕을 비는 곳이다.
아차산 봉수대로 1994년 서울정도 600년 기념으로 무악산 봉수대와 목멱산 봉수대와 함께 복원했다. 오른쪽에 있는 건물은 봉화산 도당으로 주민들의 안녕을 비는 곳이다.
전남 완도의 동망봉에 있는 봉수대로 해뜨는 시간에 본 모습이다. 남해안 순천 돌산도에서 시작하여 전라도 해안따라 강화도를 거쳐 김포공항 개화산에서 목멱산으로 가는 5번 봉화로 중 하나이다.
전남 완도의 동망봉에 있는 봉수대로 해뜨는 시간에 본 모습이다. 남해안 순천 돌산도에서 시작하여 전라도 해안따라 강화도를 거쳐 김포공항 개화산에서 목멱산으로 가는 5번 봉화로 중 하나이다.
아라뱃길 봉수마당의 봉수대로 안내판에 적정 상황이 1~5까지 기록되어 있다.
아라뱃길 봉수마당의 봉수대로 안내판에 적정 상황이 1~5까지 기록되어 있다.
아라뱃길 봉수마당 봉수대.
아라뱃길 봉수마당 봉수대.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