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거리 화학영상탐지장치 시제품 제작 형상.(사진=국방과학연구소 제공)
원거리 화학영상탐지장치 시제품 제작 형상.(사진=국방과학연구소 제공)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유사 시 적이 화학무기로 공격할 경우 조기경보 발령을 통해 대응할 수 있는 ‘원거리 화학영상탐지 기술’의 독자적 개발에 성공했다.

국방과학연구소(ADD·소장 박종승)는 8일 원거리에서 화학무기를 조기에 탐지해 오염운(雲) 확산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이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오염운’은 독성 화학가스가 구름 형태로 공기 중에 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외부 자연 환경에서 복사되는 적외선의 2차원 영상과 분광 정보를 먼 거리에서 사전에 분석, 상대방이 화학무기 공격을 해올 경우 실시간으로 오염 확산을 감시할 수 있는 원격 탐지기술이다.

‘분광’이란 빛을 분광기를 써서 파장에 따라 분석하여 파장의 순으로 나열하여 사진 등으로 표현한 것이다.

원거리 화학영상탐지장치 기술 개념도(자료=국방과학연구소 제공)
원거리 화학영상탐지장치 기술 개념도(자료=국방과학연구소 제공)

ADD는 2012∼2014년 응용연구, 2014∼2021년까지 시험 개발하는 등 방위사업청 핵심기술사업을 기반으로 이번에 이 기술을 확보했다.

ADD는 이번에 확보한 기술을 원거리 화학영상탐지 무기체계 개발에 적용되도록 노력하고, 관련 분야 민간업체에 적극적으로 기술이전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ADD 관계자는 “이 기술은 장비 경량화로 이동설치가 가능하고 유·무인 정찰체계 등 다양한 플랫폼에 탑재해 운용할 수 있다”며 “화학무기 확산경로를 가시화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 화학무기 위협에 효과적인 조기 대응능력 확보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ADD 측은 “이와 관련된 국내외 특허도 다수 획득했다”며 “해당 분야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ADD는 또 생물무기의 원거리 탐지가 가능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군 전력증강과 테러 등 민관군 통합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연구를 집중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