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이산가족들은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생사확인’을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정책과제로 꼽았다.

또 이산가족 10명 중 8명은 아직 북한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제3차 남북 이산가족 실태 조사’를 지난 9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가 향후 남북 이산가족의 전면적 생사확인과 교류에 대비해 이산가족 교류 실태 및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2016년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했다.

실태 조사에 따르면 이산가족 65.8%는 가장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과제로 ‘전면적인 생사확인 및 사망시 통보제도 추진’이라고 답했다. 이어 29.6%는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상시 상봉제도의 추진)을 꼽았다.

남북간 서신교환제도 마련(25.8%), 추석 등 특별한 시기에 정기적인 고향 방문 추진(18.5%), 화상상봉 활성화(13.7%), 당국차원의 전화통화 제도 도입 및 활성화(12.6%) 순으로 나타났다. 독립적인 민간기관을 통한 이산가족 민간교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답변도 6.3%를 기록했다.

국내 거주 신청자를 대상으로 이산가족 교류 등에 관한 개인별 참여 희망 여부를 파악한 결과 북한 가족의 생사 확인(75.7%), 고향 방문(69.7%), 상봉(65.8%), 서신·영상 편지 교환(60%)에 대한 참여 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해외거주 신청자는 북한 가족의 생사확인(86.9%), 상봉(76.2%), 서신·영상 편지 교환(67.9%), 고향 방문(61.9%) 순으로 참여 의사가 높았다.

영상 편지 제작(기존 참여 39.5%, 신규 희망 19.7%), 유전자 검사(기존 참여 46.4%, 신규 희망 19.1%) 등 교류기반 사업에 관한 관심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선호하는 교류 형태와 관련해서는 전면적 생사 확인(47.8%), 고향 방문(18.2%), 대면 상봉(16.5%)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코로나19 등 감염병 지속 상황에서는 고향방문·대면상봉 선호도가 감소하고 전화, 서신·영상편지 교환, 화상 상봉 등 비대면 교류를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향 방문과 관련해서는 실향민 이산가족(4260명)의 82.7%(3525명)는 고향 방문을 희망하고 이 중 65.4%(2305명)는 고향이 아닌 북한 지역 방문도 희망한다고 답했다.

고향 방문을 희망하지 않는 이유는 건강 문제(51.4%)가 가장 높았고, 이어 고령으로 북한 가족 사망 추정(18.1%) 등의 순이었다.

세대 간 교류 인식과 관련해서는 이산 1세대는 본인 사망 후 ‘자손 세대 간 교류’에 대해 54%가 ‘희망한다’고 응답했지만, 이산 2·3세대는 91%가 ‘희망’한다고 응답해 부모(조부모) 사망 후 ‘자손 세대 간 교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가족들은 또 ▲고향 사진·영상 수집·전시(34.1%) ▲이산가족 특집 방송 제작(30.4%) ▲이산가족 초청 행사(27.3%) 등을 통해 정부가 이산가족의 아픔을 위로하고,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번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환경 변화와 이산가족들의 수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정책 실효성을 높여 나갈 것”이라며 “상봉 등 이산가족 교류가 조속히 재개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