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내년 2월 열릴 예정인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미국 주도 외교적 보이콧 동참 여부에 대해 “한국 정부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 총리 집무실에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 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한국의 동계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 결정 여부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미국을 비롯한 어느 나라로부터도 (외교적 보이콧)참가의 권유를 받은 바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 회견에서 “종전선언은 70년 가까이 진행된 불안정한 정전체제를 종식시키고 전쟁을 종식시킨다는 의미도 있지만, 남북미 간에 대화를 재개할 수 있는 중요한 대화 모멘텀”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은 그 자체가 궁극적 목표가 아니다”며 “앞으로 비핵화 체제 평화협상을 시작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된다는 중요한 과정으로서 의미”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중국과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호주 방문을 두고 중국이 좋지 않은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는 견해에 대해 “오커스(AUKUS) 문제 등은 호주가 주권국가로서 자주적으로 결정할 문제이고, 한국은 그 결정을 존중한다”며 “호주 국빈 방문은 중국에 대한 입장과는 상관없다”고 선을 그었다.
문 대통령은 오커스와 쿼드(QUAD) 등 호주가 참여하고 있는 대 중국 겨냥 외교안보협의체들에 대해서도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 기여하는 그런 방향으로 운용되어 나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미국의 동맹국으로 한국과 호주의 공통 관심사 중 하나인 중국과 대만 사이 양안(兩岸)관계에 대한 한국의 입장에 대해 “양안관계의 평화와 안정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고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며 “양안관계의 평화와 안정이 지속되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에 대해서 국제적으로 협력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대 중국 관계에 있어서 호주와 협력 여부에 대해 우선 한반도 평화와 북한 비핵화를 위해 중국과 건설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호주와 차이점으로 꼽았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한국은 미국과 굳건한 동맹을 기반으로 삼으면서 중국과도 조화로운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중국과 관계에 있어서는 갈등, 경쟁 문제가 있지만 기후변화, 공급망 문제, 감염병 문제 등 글로벌 과제에 있어서는 협력해야 할 분야도 있다”고 원론적 언급에 그쳤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에 앞서 호주 국회의사당 내 총리 집무실에서 모리슨 호주 총리와 가진 정상회담에서 양자 협력, 지역 및 국제 협력 방안 등 공통 관심사를 폭넓게 논의했다.
두 정상은 오전 9시 28분부터 27분간 단독회담에 이어 1시간 동안 확대회담을 가졌다.
두 정상은 양국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합의하고, 역내 안정과 평화·번영에 함께 기여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국방·방산 등 안보 분야 협력을 확대하고, 코로나19 대응과 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분야 협력으로 역내 경제 회복을 위해 노력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국제정세와 한반도 평화에 대한 양국의 입장과 의지가 같다는 것을 다시한번 확인했다”며 호주가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책을 위한 한국의 노력을 일관되게 지지해준 데 대해 감사를 표했다.
모리슨 총리는 “1만명 호주 군인들이 (6.25) 한국전쟁에 참전해 희생한 것을 바탕으로 양국 관계가 세워졌다”고 상기하고 “우리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성공적인 민주주의, 자유주의 국가로 부상하기 위해 맞닥뜨린 투쟁이 위대한 성공임을 인식하고 있다”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과 모리슨 총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를 위해 대화와 외교가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 구상 등을 포함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설명하고, 모리슨 총리는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노력에 강한 지지와 지속적 협력을 재확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