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이하는 내년 초에 한중 정상회담이 열릴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지난 23일 “한국과 중국은 코로나 상황이 안정화되면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추진한다고 하는 공감대를 가지고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소통을 해 왔다”며 “정상급을 포함해서 각급에서 원활한 소통이 양국 관계의 발전에 아주 중요하다는 같은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한중 정상회담과 관련 양국이 지금 긴밀하게 소통 중이라고 언급하며, “정부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 내년에 있을 베이징 동계올림픽 등 일련의 이런 동북아 지역에서 올림픽이 우리는 물론이고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고 또 남북관계 개선에도 기여하기를 희망한다는 기본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해 이르면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전에 성사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는 내년이 한중 수교 30주년임을 거론하며 “정부로서는 양국 관계가 보다 더 미래 지향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되도록 노력해 나간다는 기본 원칙을 가지고 있다”며 “우리가 그와 관련해서 올해 초에 양국의 정상이 한중 문화교류회라는 것을 선포, 내년에도 한중 문화 교류에 관련한 사업을 준비하고 있고, 그 외에도 정치, 경제, 문화 관련 여러 가지 기념 사업들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한중 양측의 전문가로 구성된 ‘한중 미래관계 발전’이 구성돼 운영되고 있다”며 “이를 통해 그간의 미래 협력의 비전과 정의를 담은 보고서를 준비 중에 있는데, 차질 없이 잘 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간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중 정상회담과 관련 중국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베이징 동계올림픽 ‘초청장’을 보내는 카드를 활용할 가능성도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한국 정부가 미국이 주도하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불참 가능성을 포함해 정부 대표단 파견에 계속 고심하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이와 관련 “정부 대표 참석 문제와 관련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여지를 남겼다.
한편, 24일 최종건 외교부 1차관과 러위청 중국 외교부 부부장 사이에 4년 반 만에 다시 열린 한중 외교 당국 간 전략대화에서도 정상회담과 정상급 등 고위급 교류가 양국 관계 발전에 있어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관련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은 이번 전략대화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면 교류가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비대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략적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한중 정상회담도 지난 11월 16일 시진핑 중국 주석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이 화상회담처럼 대면 아닌 비대면으로 열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했던 방한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문 대통령의 임기가 5개월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내년 초 한중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