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국산화율 96%로 사실상 국산인 차기 군 위성통신체계의 고정용, 차량용 등 ‘군 위성통신체계-II’와 연동된 지상 단말기의 양산에 들어간다.
방위사업청은 국방우주력 건설 및 자주국방 보장을 위해 LIG넥스원, 한화시스템과 이같은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군 위성통신체계-II는 현재 운용 중인 군 위성통신체계(ANASIS)의 폐기 기한인 ‘수명 주기’가 다가옴에 따라 생존성과 보안성을 강화한 위성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오는 2025년까지 총 888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 사업에는 송수신 신호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모뎀, 안테나 장치, 소프트웨어 등 핵심 부품과 관련된 국내 업체 48곳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 “군 위성통신체계-II 지상 단말 양산계약”은 전·평시 고정통신체계 및 전술통신체계(TICN)와 상호 보완적으로 통합·운영되는 통신기반체계로, 합동참모본부 중심의 통합전투력 발휘를 위해 필요한 핵심전력이다.
군 위성통신체계-Ⅱ가 성공적으로 전력화되면 평시에는 고정통신망의 일부를 위성통신망으로 전환 운용하고, 우발 및 전시 상황에는 위성통신을 주 통신망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전환체계 구축 및 운용이 가능해진다.
방사청 정규헌 우주지휘통신사업부장은 “96%의 국산화율을 자랑하는 군 위성통신체계-Ⅱ 지상 단말기의 양산사업은 군 전력 강화와 우주방위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