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도입된 첫 스텔스기 F-35A. (사진=방사청 제공)
국내 도입된 첫 스텔스기 F-35A. (사진=방사청 제공)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공군이 보유한 첨단 F-35A 스텔스 전투기가 4일 훈련 비행 중 항공전자계통 이상으로 비상착륙했다.

공군은 이날 “오늘 오후 12시 51분쯤 F-35A 1대가 훈련 중 항공전자계통 이상으로 랜딩기어(착륙장치)가 내려오지 않아 충남 서산 제20전투비행단 기지 활주로에 동체착륙 했다”고 밝혔다.

동체착륙은 비행기의 동체를 직접 지면에 접촉해 착륙하는 방식이다. 전투기에 탑승한 조종사는 특별한 부상 없이 무사하다고 공군 관계자는 전했다.

공군에 따르면 사고 전투기의 랜딩기어 3개가 모두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으면 지상 활주로에 착륙하기 어려워 공중에서 선회 비행하며 최악의 경우 조종사만 탈출하고 기체는 해상에 추락시켜야 한다.

그러나 공군과 F-35A 조종사는 지상 피해를 우려해 공중에서 비상 탈출을 포기한 뒤 연료를 모두 버리고 목숨을 건 동체착륙을 시도했다.

동체착륙은 마찰열에 의한 화재 발생에 대비해 공중에서 연료를 최대한 비워야 한다. 아울러 기체를 최대한 수평으로 유지한 채 속도를 줄여 활주로에 닿도록 해야 하는 등 고난도 조종 기술이 필요하다. 조종사 기량이 반드시 뒤따라줘야 한다고 항공 전문가들은 설명하고 있다.

공군은 F-35A 전투기의 동체착륙으로 결정되자 서산기지 활주로에 소방차를 동원해 특수거품을 깔아 동체 하단과 활주로의 마찰을 최소화했다. 특수거품과 조종사의 기량 덕분에 기체 손상도 거의 없다고 공군은 전했다. 조종사도 다친 곳 없이 착륙 후 기체에서 내렸다.

공군은 이날 기체 이상과 관련해 미국 개발사 록히드마틴 등과 공동으로 정확한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다. 공군은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당분간 모든 F-35A 기종 비행을 중단했다.

공군은 “정확한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며 “조사가 마무리 될 때까지 모든 F-35A 기종 운항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F-35A는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된 스텔스기로 항공기에 탑재된 모든 센서의 정보가 하나로 융합 처리돼 조종사에게 최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최첨단 전투기다. 현재 국내에 40대가량이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스텔스 성능과 전자전 능력 등 통합항전 시스템을 갖췄다. 최대 속도는 마하 1.6이며 전투행동반경은 약 1093km다. 1대당 가격은 약 1190억원이다.

한편, 지난해 일본에서도 항공자위대 소속 F-35A가 훈련 중 기체 이상으로 홋카이도(北海道) 하코다테(函館) 공항에 긴급착륙한 바 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