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왼쪽)의 '병사 봉급 월 200만원' 공약에 대해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은 '무책임한 헛소리'라고 비판했다.(자료사진=국민의힘 선대본부, 홍준표 의원실 제공)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왼쪽)의 '병사 봉급 월 200만원' 공약에 대해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은 '무책임한 헛소리'라고 비판했다.(자료사진=국민의힘 선대본부, 홍준표 의원실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연이틀째 ‘병사 봉급 200만원’ 공약한 것을 두고 같은 당 홍준표 의원이 ‘무책임한 헛소리’라고 비판하는 등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윤 후보는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병사 봉급 월 200만원을 보장하겠다”는 제목의 글을 다시 올렸다. 

전날 “병사 봉급 월 200만원”이라는 한 줄짜리 공약을 거듭 확인한 것이다.

윤 후보는 이 글에서 “군복무 중 최저임금 보장을 통해 국가가 청년들의 사회진출을 지원하고, 자산형성을 위해 최소한의 목돈을 마련할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이유를 들었다.

그는 이어 “병사들의 군 복무는 근로계약이 아니다”며 “국가안보를 위해 개인의 희생이 불가피할 때 그 희생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제대로 설계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적인 역할이고 역량”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제는 젊은 청년들의 헌신에 국가가 답할 때”라며 “엄중한 안보현실 속에서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청년들에게 국가재정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들에게 최저임금도 보장하지 않는 것은 공정과 상식에 맞지 않다”며 “국방의 의무를 희생만이 아닌 존중으로 대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병사 봉급 월 200만원 보장' 공약을 거듭 확인했다.(이미지=윤석열 페이스북 갈무리)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병사 봉급 월 200만원 보장' 공약을 거듭 확인했다.(이미지=윤석열 페이스북 갈무리)

병사 봉급 200만원은 정부가 새해부터 인상하기로 한 병장 기준 월급 67만 6115원의 약 3배에 해당하는 파격적 액수다.

윤 후보 선거대책본부는 이와 별도로 추가 설명 보도자료를 통해 “모든 병사에게 최저임금 이상의 급여를 보장하는 것이 ‘공정과 상식이 열리는 나라’가 되는 지름길”이라고 주장했다.

선대본부는 이어 “병사 급여 예산이 현재 2조 1000억원이나 모든 병사를 최저임금으로 인상할 경우 추가로 약 5조 1000억원이 더 소요된다”며 “이 추가 예산의 지원은 예산 지출 조정을 통해 마련할 예정”이라고 구체적 설명까지 덧붙였다.

선대본부는 그러면서 “윤 후보가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에 소홀히 하지 않겠다는 철학을 갖고 있다”며 “전문가 검토를 거쳐 만든 공약”이라고 공약의 배경을 강조했다.

윤 후보의 이 공약과 관련 온라인에서 찬반 여론이 들끓는 가운데 홍준표 의원이 개설한 온라인 플랫폼 ‘청년의 꿈’에는 누리꾼들의 비난과 우려가 더 많이 제기돼 눈길을 끌었다.

“20대 미필 남성들의 표를 노린 다분히 포퓰리즘적인 공약”이라며 “아무리 표가 고프다 하더라도 저게 진짜 우리 군의 전투력 상승과 병들의 처우를 개선할 수 있는 방책인지, 나아가 우리나라를 위한 정책인지 생각은 해보고 저런 말들을 하는 걸까요?”라고 의문을 제기하는 누리꾼도 있었다.

또 다른 누리꾼은 “하사 10호봉이 월 실수령액 200만원이 안 되는 것을 아시는 지 궁금하다”고 의문을 표하며 “이런 말도 안 되는 포퓰리즘식 공약 지겹다. 제발 지킬 수 있는 약속을 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홍준표 의원은 이런 누리꾼들의 비판에 “군대를 안 가봐서” “모병제를 공약하지”라는 등의 댓글로 맞장구를 쳤다.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이 남긴 댓글.(이미지=온라인 플랫폼 ‘청년의꿈’ 화면 갈무리)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이 남긴 댓글.(이미지=온라인 플랫폼 ‘청년의꿈’ 화면 갈무리)

최근 윤 후보와 ‘화해’한 것으로 알려진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이 공약에 대해 “필요한 예산은 적극적으로 당에서 우선순위를 조정해서 뒷받침할 수 있다”고 적극적으로 거들고 나서 홍 의원과 대조를 보였다.

이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20대 초반의 ‘남성들에게 한 달에 200만 원 받고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겠느냐, 한 달에 200만원 안 받고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지 않겠냐’고 물어본다면 안타깝게도 대부분 후자를 선택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급격하게 인상해도 충분하지 않은 보상이기 때문”이며 “가장 창의적이고 자유롭고, 해보고 싶은 것이 많은 시기에 젊은 세대가 그것을 접고 다른 국민들을 위해 봉사한다면 우리 사회는 그들이 전역했을 때 복무기간 동안 누리지 못했던 창의와 자유를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은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고 옹호했다.

이 대표는 그러면서 “아무리 복무환경을 개선해도 사회에 나와서 다시 학비를 벌기 위해, 꿈을 실현할 자금을 모으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고 노력해야 하는 전역한 용사가 있다면 그 기간이라도 단축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며 “후보의 생각에 저는 깊이 공감한다”고 강조했다.

윤 후보는 지난 12월 20일 육군 제3보병사단을 방문한 자리에서 “병사 월급을 대폭 인상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한편, 정부는 올해부터 병사 봉급을 지난해와 비교해 이병은 45만 9100원에서 51만 89원으로, 일병은 49만 6900원에서 55만 2023원으로, 상병은 54만 9200원에서 61만 173원으로, 병장은 60만 8500원에서 67만 6115원으로 각각 인상하기로 했다.

윤 후보는 최근 페이스북을 통해 한 줄짜리 공약을 릴레이 식으로 내놓고 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