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아시아연구소가 12일 공개한 ‘2021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설문조사 결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신뢰할 수 있는 나라' ‘한국이 가장 협력해야 할 나라’ 등에서 미국을 압도적 1위로 꼽았다.(이미지=국가보훈처 제공)
서울대 아시아연구소가 12일 공개한 ‘2021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설문조사 결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신뢰할 수 있는 나라' ‘한국이 가장 협력해야 할 나라’ 등에서 미국을 압도적 1위로 꼽았다.(이미지=국가보훈처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신뢰할 수 있고, 가장 협력해야 할 국가로 단연 미국을 첫 손에 꼽았다. 가까운 이웃인 중국과 일본은 신뢰도, 협력 대상 순위에서 모두 꼴찌를 다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아시아연구소는 12일 ‘아시아 브리프’ 최신호에 실린 ‘2021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설문조사 결과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이는 이 연구소가 지난해 12월 여론조사 회사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우리 국민 성인 남녀 1031명을 대상으로 미국, 중국, 일본, 프랑스, 호주, 독일, 태국, 베트남 등 주요국 20개국에 대한 신뢰도, 호감도 등을 물은 설문 조사 결과다.

‘신뢰할 수 있는 국가’ 설문에서 응답자의 71.6%(복수 응답)가 미국을 꼽아 압도적 1위였고, 일본과 중국이 각각 13.3%, 6.8%로 19위, 20위를 기록했다.

‘한국이 가장 협력해야 할 나라’ 설문에서도 미국을 꼽은 응답자가 69.2%로 3분2를 넘었다.

이 항목에서 중국은 6.9%, 북한은 6.5%였고, 일본은 1.1%로 북한보다도 낮아 협력 대상국으로 생각하는 국민이 거의 없었다.

미국은 ‘한국과 좋은 관계라고 생각하는 국가’에서도 68.2%로 가장 앞자리를 차지했지만, 중국(9.6%)과 일본(3.1%)은 가장 뒷자리를 다퉜다.

‘한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나라’에서도 미국은 67.0%로 수위였고, 중국과 일본은 각각 8.4%, 7.4%에 한 자리수에 머물렀다.

이 연구소가 호감도 조사를 목적으로 ‘감정 온도’를 0∼100도 사이에서 고르도록 한 결과 미국이 역시 65.9도로 가장 높았다.

스웨덴(59.5도), 호주(59.2도), 독일(58.1도), 프랑스(57.3도)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설문에서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싱가포르(54.1도)와 대만(51.3도), 몽골(50.1도)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고 태국(48.3도), 필리핀(47.9도), 베트남(46.6도) 순이었다.

호감도가 낮은 나라로는 주변국인 중국(35.8도, 18위), 북한(33.8도, 19위), 일본(33.6도, 20위)의 순으로 최하위권에 자리했다. 

이는 남아프리카공화국(45.0도, 14위), 가나(42.2도, 16위) 등 상대적으로 낯선 아프리카 국가들보다도 낮아 눈길을 끌었다.

호감도 조사를 목적으로 ‘'감정 온도’를 0∼100도 사이에서 고르도록 한 결과 미국이 역시 65.9도로 가장 높았고, 중국(35.8도,18위), 북한(33.8도,19위), 일본(33.6도,20위)의 순으로 최하위권에 자리했다.(자료=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제공)
호감도 조사를 목적으로 ‘감정 온도’를 0∼100도 사이에서 고르도록 한 결과 미국이 역시 65.9도로 가장 높았고, 중국(35.8도, 18위), 북한(33.8도, 19위), 일본(33.6도, 20위)의 순으로 최하위권에 자리했다. (자료=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제공)

이번 설문조사에는 ‘미·중 경쟁에서 패권을 잡을 국가’를 묻는 흥미로운 항목도 포함됐다. 이 결과 또한 미국이 53.7%로 11.5%의 중국을 압도적으로 앞서 우리 국민들은 아직 중국이 미국의 경쟁 상대가 아니라는 인식을 드러냈다.

아시아권의 주요 이슈인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반도체 경쟁 등에서도 협력할 나라로 미국을 꼽은 응답자가 67.5%에 달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용호 ‘아시아 브리프’ 편집위원장은 신뢰도, 호감도, 협력 대상국으로서 중국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이런 인식과 관련 “‘동북공정’과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대응한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등으로 중국과 갈등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반감도 커진 것”이라며 “이로 인해 중국에 대한 신뢰도와 협력 관계 등 모든 지표가 매우 부정적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중 간 경쟁이 심화하면서 아시아가 지정학적 요충지로 떠오른 상황에서 이러한 결과는 정책적 함의가 크다”며 “한국의 대외정책 수립에 참고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