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1일 자강도 일대에서 진행된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직접 참관하고, 전용차량 안에서 망원경으로 관측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2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갈무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1일 자강도 일대에서 진행된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직접 참관하고, 전용차량 안에서 망원경으로 관측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2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갈무리)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이 12일 전날 있었던 극초음속 미사일 ‘최종 시험’ 발사에 ‘대성공’했다고 주장하며 자축 행사까지 벌였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은 동지께서 1월 11일 국방과학원에서 진행한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참관했다”며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에서 연속 성공"이라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이 미사일 발사와 관련 “발사된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 비행전투부는 거리 600㎞ 계선에서부터 활공 재도약하며 초기 발사 방위각으로부터 목표점 방위각에로 240㎞ 강한 선회기동을 수행해 1000㎞ 수역의 설정표적을 명중했다”고 상세히 설명했다.

북한 측 주장대로라면, 발사 후 600㎞ 지점에서 약 7m 길이의 활공비행체(HGV)가 분리돼 활강 비행을 하면서 240㎞ 가량 선회기동을 했다는 것으로 요격을 피할 수 있는 극초음속 미사일의 특징을 드러낸 셈이다.

이날 보도에서 전날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한 ‘마하 10, 사거리 700Km 이상’ 내용과 비교해 사거리가 300Km 더 늘어난 점이 눈에 띈다.

마하 10의 속도는 북한 어느 지역에서 발사하다라도 서울에 1분 안팎이면 도달하고, 사정거리 1000Km는 남한 거의 전역이 사정권에 든다는 뜻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11일 극초음속무기연구 개발 부문 핵심 구성원들을 당 중앙위 본부청사로 불러 ‘대성공’을 축하하고 ‘특별 감사’를 전한 뒤 함께 기념사진을 촬영했다고 노동신문이 12일 보도했다.(사진=노동신문 갈무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11일 극초음속무기연구 개발 부문 핵심 구성원들을 당 중앙위 본부청사로 불러 ‘대성공’을 축하하고 ‘특별 감사’를 전한 뒤 함께 기념사진을 촬영했다고 노동신문이 12일 보도했다.(사진=노동신문 갈무리)

특히 김 위원장의 이번 미사일 발사 참관이 확인되면서 북한의 ‘최종 시험’ 주장이 사실일 가능성도 커 보인다.

김 위원장은 집권 이후 북한의 신무기 최종완성 단계 또는 기술적 최종 확증 단계와 같은 자신의 지도력을 과시할 수 있는 결정적 순간에 직접 참관해왔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북한 매체들은 김 위원장이 이 미사일 발사 당일 “대성공을 이룩한 미사일 연구부문 과학자, 기술자, 일꾼과 해당 당 조직들을 노동당 본부 청사로 불러 높이 평가하고 특별 감사를 했다”고 보도하는 등 자축 분위기를 한껏 강조하기까지 했다.

북한 주장대로 이번 이 미사일 발사에서 ‘성공’했다면 조만간 실전 배치될 것이란 전망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어 우리 군 당국의 고민이 커지게 됐다.

김 위원장은 이날 시험발사에 앞서 “나라의 전략적인 군사력을 질량적으로,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우리 군대의 현대성을 제고하기 위한 투쟁에 더욱 박차를 가해나가야 한다”며 “나라의 전쟁억제력을 비상히 강화하기 위한 력사적인 성업에서 계속 훌륭한 성과들을 쟁취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