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20일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발표 중이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20일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유엔 주재 미국대표부 홈페이지 갈무리)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미국을 포함한 8개국 주유엔 대사들이 대북제재를 통해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유도하려는 공동전선을 펼쳤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20일(현지시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대북제재위원회가 선제적으로 안보리 대북제재의 이행을 지원하라”며 “여기엔 지난 주 미국이 제안한 불법 무기개발 관여자들에 대한 제재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이 공동성명에는 미국을 비롯해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 알바니아, 일본, 아랍에미리트, 브라질 등 8개국이 동참했다.

이들 8개국은 “안보리 이사국들이 단합해 안보리 결의 등을 위반한 북한을 규탄할 것을 촉구한다”며 “발언과 행동을 통해 보여지는 이러한 결속이 과거에 북한을 협상장으로 데려왔으며, 역내와 국제사회의 안전을 증진시킨다”고 주장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북한의 불법적인 행동은 국제평화와 안보에 위협”이라며 “이러한 발사들은 자국민을 희생시키는 것을 포함해 모든 대가를 치르면서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추구하려는 정권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비난했다.

특히 지난 12일 미국이 제재 대상자로 지목한 북한 국방과학원 소속 북한인 5명에 대해서도 “자국의 사법권 내에서 제재를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들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그렇지 않으면 북한이 무기 프로그램을 증진하도록 ‘백지 수표’를 제공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역내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해치고 불안정하게 하는 행동들에 대해선 계속 목소리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또 “전제조건 없이 의미 있는 관여와 외교로의 복귀를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며 “관련 안보리 결의안에 따라 역내 지속적인 평화·안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려는 의지를 재확인 한다”고 밝혔다.

한편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북한의 미사일 개발 관련자들을 안보리 제재 대상에 추가하자는 미국 측 제안에 대해 중국이 20일(현지시간) 검토할 시간이 필요하다며 보류를 요청했다.

대북제재위 업무수행 가이드라인에 따라 안보리 제재 명단에 개인이나 단체를 추가하려면 유엔 상임이사국 5개국과 비상임이사국 10개국의 만장일치 동의가 필요하다.

외신은 중국에 이어 러시아도 이날 오후 대북 제재 제안에 대해 중국과 같은 입장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