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오미크론 변이 환자 급증 등 코로나19 확산세가 군의 대응 가능한 역량을 넘어설 상황에 직면하자 군 당국이 비상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방부는 24일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해 군내 확진·격리자가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하는 경우를 대비하겠다”며 “방역과 의료 등 제반 대응방안을 수립·시행한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진단검사의 자체인력 보강과 민간위탁 검사 확대 등을 통해 군의 PCR 검사역량을 확충해 현행 군내 PCR 검사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만약 검사를 실시할 여력이 부족해지면 ”군 우선순위에 따라 PCR 검사를 시행하고, 현재 일부 유증상자에 한해 시행하고 있는 신속항원검사를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군에 따르면 검사 우선순위는 의사의 소견에 따른 코로나19 유증상자, 신속항원·응급선별검사 양성자,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자, 감염 위험도가 높은 부대 등의 순서다.
이 상황에서도 입영 1·8일 차에 검사를 받는 ‘신입병’이나 휴가 복귀 전 검사를 받는 ‘휴가병’에 대해선 현행의 보건당국 PCR 검사체계를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방부는 “격리 소요 급증에 대비한 계획도 마련했다”며 “먼저 부대별 가용 격리시설 확보 및 민간시설 임차 등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어 “접촉자, 휴가복귀자 등에 대한 격리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변경해 격리자 관리 부담을 줄이겠다”고 말했다.
또 “출퇴근하는 간부·상근병 등은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하고, 부대 내 병사·훈련병 등은 생활치료센터 입소 원칙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군내 확진자가 급증하더라도 원활한 병상배정이 이뤄지도록 보건당국과 협조해 일일 단위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면서도 “군의 방역역량이 검사·격리 등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경우엔 정부지침과 연계해 ‘고강도 군내 거리두기 방안’을 검토·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장병 기본권을 보장하는 가운데 철저한 코로나19 방역관리를 시행해 흔들림 없는 군사대비 태세를 유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