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시험발사에 따른 유엔의 대응을 논의할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가 4일 열릴 예정인 가운데 북한은 미국이 국제사회를 기만하고 있다며 비난 수위를 한층 끌어 올렸다.
북한 외무성은 지난 2일 홈페이지에 ‘조선-아시아협회’ 명의로 “미국은 국제사회를 기만하지 말아야 한다”는 제목의 글을 올려 지난달 유엔 안보리가 결의한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경제 제재를 거론하며 “미국의 속심은 최악의 국제사회의 비난과 규탄을 모면하는 한편 제재를 유지해 탈레반 정권을 구미에 맞게 길들이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이 경제 제재 중 인도주의적 구호금을 제외한 것과 관련 “미국이 겉으로는 인도주의 위기 해결에 누구보다 관심이 있는 듯 생색을 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 나라(아프가니스탄)의 정상적인 발전에 필요한 90여억 달러의 자금 동결도 해제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탈레반 재집권 후 약 90억 달러 규모의 아프간 자산을 동결시킨 바 있다.
이어 지난달 1일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에서 미국의 경제 제재 전면 해제를 요구하며 열린 시위를 언급하며 “국제사회를 기만하려는 미국의 유치한 수법은 날이 갈수록 더 큰 국제적 항의와 규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거듭 목소리를 높였다.
북한은 또 이날 외무성 홈페이지에 올린 다른 글에서 “한반도 정세 악화는 미국의 대북적대시 정책 때문”이라면서 “미국이 외교적 해결과 대화에 대해 말하기 전에 대북 적대시 정책부터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특히 왕이(王毅)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류샤오밍(劉曉明) 중국 정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의 대북 제재 관련 발언을 인용해 “미국의 제재는 한반도 정세의 긴장만을 격화시킬 뿐 정세 안정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미국이 ‘제재 만능론’을 버리고 북한의 정당하고 합리적인 우려를 해결하기 위한 실제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유엔 안보리 회의는 북한이 지난달 30일 화성-12형 시험발사 후 미국이 영국, 프랑스와 함께 긴급회의를 요청한 데 따라 열리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