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배치된 신형 120mm 자주 박격포는 사거리와 화력 등 성능이 기존 박격포에 비해 각각 2배 가량 높아졌다.(사진=방위사업청 제공)
실전 배치된 신형 120mm 자주 박격포는 사거리와 화력 등 성능이 기존 박격포에 비해 각각 2배 가량 높아졌다.(사진=방위사업청 제공)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2배 가량 성능이 높아진 신형 120mm 자주박격포가 군에 실전 배치됐다. 

40여년 만에 이뤄지는 '고물' 박격포의 본격 교체 시작이다. 

방위사업청은 “기계화부대 근접 화력 지원을 위한 120mm 자주박격포와 사격지휘차량의 최초 양산물량을 지난달 25일 육군에 인도했다”고 4일 밝혔다.

신형 자주박격포는 자동화된 박격포를 궤도형 장갑차에 탑재한 무기체계로, 오는 2025년까지 배치를 끝낼 예정이다.

방사청은 “40년 이상 운영해 노후화가 심각한 기존의 4.2인치 박격포를 대체하기 위해 2019년에 개발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신형 자주박격포는 기존 박격포에 비해 사거리는 최대 2.3배, 화력은 1.9배 증대됐다.

차량을 고정한 상태로 박격포를 회전시켜 전 방향으로 사격할 수 있고, 기계화부대의 빠른 기동 속도에 효과적인 화력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신형 120mm 자주박격포의 사격제원을 자동으로 산출해주는 사격지휘차량. (사진=방위사업청 제공)
신형 120mm 자주박격포의 사격제원을 자동으로 산출해주는 사격지휘차량. (사진=방위사업청 제공)

기존 박격포에서 운용병이 수동으로 산출하던 사격제원을 사격지휘차량이 자동으로 하도록 바뀌면서 정확도가 획기적으로 높아지고, 소요 시간과 병력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방사청 조한기(육군 준장) 기동사업부장은 “120mm 자주박격포는 한국군의 공세적 기동 전투 임무를 수행하는 기계화부대의 작전 수행 능력을 한 단계 격상시킬 핵심 전력”이라며 “후속 양산에서 국산화율을 확대해 방산 수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박격포 탑재차량과 사격지휘차량은 한화디펜스에서, 박격포는 SNT중공업에서 생산했으며, 이를 개발하는 데만 각각 약 7800억원, 약 1000억원 가량의 예산이 투입됐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