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 청사(사진=방사청 제공)
방위사업청 청사(사진=방사청 제공)

[국방신문-김한규 기자] 국방기술의 민간기업 이전을 늘리고, 그 기술을 토대로 실제 제품을 개발할 때까지 정부에서 일정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방위사업청(청장 왕정홍)은 내년 '민군기술이전사업'의 일환인 '국방기술이전 상용화 지원사업(가칭)'에 올해 대비 약 9배 확대된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국방기술이전 상용화 지원사업은 민간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은 국방과학기술을 기업에 이전하는데 그친 기존의 민군기술이전 사업을 더 발전시켜 상용화 기술 개발과 실제 제품 개발까지 정부에서 일정 예산을 지원하는 '국방기술사업화 전주기 지원체계'의 핵심적인 사업이다.

국방기술이전 상용화 지원사업은 올해는 10억원의 예산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내년에는 약 9배 확대된 87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지원 분야도 4차 산업기술이 적용된 미래 산업기술 분야를 중점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사업의 대폭적인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 각 지역의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민수사업화 유망기술 수요조사를 연중 실시하고, 지역별 사업설명회를 통해 민간기업의 사업 참여를 적극 장려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해양 유출 오일 실시간 감지 및 초기방재를 위한 드론 탑재형 조기경보 시스템.(사진=방위사업청)
해양 유출 오일 실시간 감지 및 초기방재를 위한 드론 탑재형 조기경보 시스템.(사진=방위사업청)

방사청은 '국방기술이전 상용화 지원사업' 시범과제로서 '휴대용 원격 유독가스 누출 감시장비 개발' 과제와 '해양 유출 오일 실시간 감지 및 초기 방제를 위한 드론탑재형 조기 경보 시스템 개발' 과제를 선정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휴대용 원격 유독가스 누출 감시 기술의 주관 연구기관은 ㈜무리기술이며, 유독·유해 가스 및 감시 장비, 석탄·유류 등 저장고 화재 감시 등 재난 감시에 활용된다.

해양 유출 오일 실시간 감지 및 초기 방재를 위한 드론 탑재형 조기경보 시스템은 ㈜마하테크가 주관 연구기관으로, 상시 광역대 해양 오염 감시, 대기·원유·적조 방사능 감시용으로 활용된다.

방사청은 내년부터 민군기술협력사업의 도전성과 혁신성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기술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해 신개념 무기체계 소요를 선도하는 '미래도전 국방기술개발사업'등 혁신·도전적 R&D와 연계를 통해 기획단계부터 실용화에 이르기까지 기술의 가교역할로써 민군기술협력사업의 범위도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방과학기술의 민간분야 적용(스핀오프) 확대와 민간분야 기술의 국방 분야 적용(스핀온)을 균형감 있게 추진함으로써 국방-민간 간 기술개발의 선순환 구조를 창출하는 등 민군기술협력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