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은 2월 21일부터 3월 21일까지 '민·군규격표준화사업' 신규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미지=국방기술품질원 제공)
방위사업청은 2월 21일부터 3월 21일까지 '민·군규격표준화사업' 신규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미지=국방기술품질원 제공)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정부가 국방규격·민수규격의 새로운 표준화 작업으로 국방예산 절감과 함께 산업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방위사업청은 국방기술품질원과 함께 “민·군규격표준화사업 신규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조사는 이날부터 3월 21일까지 진행되며, 군·학계·연구기관·산업체를 대상으로 한다.

민·군표준화사업은 국방규격을 민수규격으로 전환하고 민·군 겸용 표준을 개발함으로써 불필요한 규격의 통·폐합 등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방사청은 이 사업으로 국가표준 기반을 조성해 국방예산 절감과 산업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기서 개발되는 표준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되거나 부합하게 되면, 국제시장에서 국내 제품의 상호운용성·호환성·공통성이 높아져 글로벌 경쟁력 향상까지 기대할 수 있다.

방사청은 “올해 빅데이터·AI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소재·부품·장비 분야, 미래 친환경·저탄소·안전 분야의 신규 연구과제 수요조사를 중점 추진한다”며 “특히 기술변화 대응을 위한 새로운 표준을 개발할 수 있는 과제에 대해 우선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기품원에서는 “민·군 겸용 드론 표준화 연구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반영한 무인항공기 분야의 표준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며 “최종 연구과제는 민·군 전문가그룹의 검토·심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기품원은 그간 표준화사업을 통해 2634종의 국방규격을 KS규격으로 전환·폐지해 규격을 통일했고, 민·군 기술협력으로 2167종의 국방규격을 개선·보완했으며, 1479종의 구매요구서와 국방표준서를 제·개정해 민간상용품의 군 조달기회를 확대한 바 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