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격 침공하자 곧바로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제재 동참으로 급선회했다.
또 현재 가동 중인 범정부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TF’를 통해 상황을 점검하고 선제적 대응도 지시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25일 청와대 참모회의에서 이같이 지시했다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정부는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산하 기재부 1차관이 주재하는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TF를 통해 공급망, 실물경제, 거시금융 등 3개 분과별로 매일 상황을 점검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이와 별도로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관계장관 회의와 대외경제 현안 전문가 간담회 등을 열었으며, 고승범 금융위원장 주재의 금융시장점검회의도 개최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전날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임을 강조하며 “무력 침공을 억제하고 사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경제 제재를 포함한 국제사회 노력에 지지를 보내며, 이에 동참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무고한 인명 피해를 야기하는 무력 사용은 어떤 경우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국제사회의 계속된 경고와 외교를 통한 해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감스럽게도 우크라이나에서 우려했던 무력 침공이 발생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보전 및 독립은 반드시 보장돼야 한다”며 “국가 간 어떤 갈등도 전쟁이 아닌 대화와 협상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우리 재외국민의 안전 확보와 경제 및 기업에 대한 영향의 최소화”를 위해 “정부 관련 부처는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만반의 대비를 갖추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라”고 당부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기자들과 만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전면전‘으로 판단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전면전 규정을 우리가 하는 것은 마땅치 않다”고 즉답을 피했다.
이 관계자는 러시아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사회 ‘제재’와 관련 “(우리 정부가)선제적으로 제재의 항목을 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며 “다만 국제사회의 제재에 저희가 긴밀하게 연결돼 있고, 자연스럽게 동참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