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25일 국방부 청사에서 서욱 국방부 장관(가운데) 주관으로 군인복무정책심의위원회 제3기 민간위원 위촉식을 진행했다. 위원장엔 최훈석 성균관대 심리학과 교수(왼쪽 세번째)가 위촉됐다. (사진=국방부 제공)
국방부는 25일 국방부 청사에서 서욱 국방부 장관(가운데) 주관으로 군인복무정책심의위원회 제3기 민간위원 위촉식을 진행했다. 위원장엔 최훈석 성균관대 심리학과 교수(왼쪽 세번째)가 위촉됐다. (사진=국방부 제공)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군 장병들의 기본권이 존중되는 병영문화 조성 정책 수립을 돕는 민간 전문가 6인이 군인복무정책심의위원회 위원으로 새로 위촉됐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25일 국방부 청사에서 해당 위원회 제3기 민간위원 6명의 위촉식을 열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이번에 위촉된 3기 민간위원들은 법조계·교육계·전문기관 등에서 다양한 경력을 쌓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다.

이날 위촉된 민간위원들은 공동위원장을 맡은 최훈석 성균관대 심리학과 교수를 비롯해 구자숙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 문유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장, 박문언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전문연구위원, 조상연 전 정보통신학교 교수부장, 홍창식 법무법인 대륙아주 변호사 등이다.

군인복무정책심의위원회는 ‘군인복무기본법’에 따라 군인의 기본권 보장과 의무 이행, 복무와 관련된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기구다.

위원회에는 민간위원 외에도 국방부장관(공동위원장), 합참의장, 육·해·공군 참모총장, 해병대 사령관 등 6인도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한다. 

이 위원회는 그동안 2018~2022년 군인복무기본정책을 비롯해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조정했고, 병사들의 일과 후 휴대전화 사용, 평일 외출, 외박지역 제한 폐지,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대대급 배치 등 병영문화·복무정책의 혁신에 크게 기여했다.

이 위원회는 이날 위촉식 후 실무위원회를 열어 ‘2022년 군인복무기본정책 시행계획’, ‘2023~2027 군인복무기본정책’ 수립 등 앞으로의 활동 방향에 대해 토의를 진행했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군은 자율과 책임이 조화를 이루고, 엄정한 군기 속에서도 개인의 기본권을 존중하는 선진 병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법·제도 개선에 그치지 않고 장병들의 복무여건이 실질적으로 개선되도록 민간위원들이 관심을 갖고 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