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한미 정부가 서울 용산구 주한미군 기지 일부와 경기도 의정부의 캠프 레드클라우드 기지 등 총 99만6000㎡(약 30만1290평) 규모의 주한미군 기지를 추가로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 25일 채택한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합동위원회 공동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새로 합의한 반환 부지는 용산기지 내 메인포스트 2개 구역과 사우스포스트 1개 구역 등 총 16만5000㎡, 의정부의 캠프 레드클라우드 83만㎡와 캠프스탠리 취수장 1000㎡ 등이다.
한미는 올해 상반기 내 용산기지 전체 면적의 4분의 1가량인 50만㎡까지 반환이 이뤄지도록 협의하기로 하고, 그 협의 시기를 ‘2022년 초’로 지난해 7월에 정했으나 다소 시간이 늦어진 것이다.
미국의 이번 용산기지 일부 반환은 지난 2020년 12월 스포츠필드와 소프트볼경기장 등 2개 구역(5만3418㎡)에 이어 2번째로 이뤄지는 것이다.
이 부지는 용산공원 조성 전까지 시민들이 현재 모습을 볼 수 있도록 부지정리 등을 거쳐 개방될 계획이다.
용산기지는 한미연합사령부 등 남아 있는 부대들의 평택기지 이전, 용산에 남는 일부 시설을 방호하는 소규모 부대시설 공사가 끝난 뒤 나머지 전체가 폐쇄된다.
미국이 지금까지 한국에 돌려준 용산기지 부지는 총 21만8000여㎡로, 전체 용산기지(203만㎡) 부지의 10% 가량이다.
정부는 “용산기지는 (현재 일부)사용 중인 대규모 기지로, 기지 내 구역별로 상황과 여건이 다르다”며 “전체를 한꺼번에 받는 것에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단계적으로 반환받기로 미국측과 협의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번에 한국에 반환키로 한 캠프 레드클라우드는 의정부 도심에 있으며, 의정부시는 이 일대에 ‘e커머스’ 물류단지 조성을 계획 중이다.
의정부의 캠프 스탠리 취수장은 그동안 부지 반환이 늦어지면서 관내 부용천 정비사업이 차질을 빚었다.
현재까지 한국으로 반환된 미군기지는 총 80곳 중 69곳이며, 반환되지 않는 기지는 약 90% 가량의 용산기지를 포함해 모두 11곳이다.
외교부는 “기지반환의 추가 지연은 기지 주변 지역사회가 직면한 경제·사회적 어려움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점에 동의했다”며 “올해 초까지 상당 규모의 용산기지 반환을 완료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임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