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3일 두 달 남짓 남은 임기 마지막까지 복합적 안보위기에 대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2021∼2030 안보위협 전망 보고’ 주제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관계장관 회의를 주재하고, 안보 위기에 “차기 정부가 초반부터 기민하게 대응할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전통적 군사안보와 함께 AI(인공지능),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등으로 야기되는 새로운 안보위기가 등장하고 있다”며 “글로벌 안보 환경이 빠르게 변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롭고 복합적인 안보 위기가 등장하는 상황에서 전략적 대응계획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그러면 왜 지금 이 시기에 (위기대응 방안을) 검토해야 하나”라고 자문한 뒤 “논의 내용을 국민에게 알리고, 다음 정부가 참고하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거듭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 관계장관회의 시작 전 서훈 국가안보실장과 자료를 보며 대화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 관계장관회의 시작 전 서훈 국가안보실장과 자료를 보며 대화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문 대통령은 이어 “현재 안보 양상은 매우 복합적”이라며 “팬데믹 발생으로 공급망 주도를 위해 경쟁하고 있으며, 신흥기술 선점 및 유지를 위한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고 안보 위기가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우려했다. 

문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원인에 대해 “그 배경에는 민주주의, 인권 등 가치와 체제의 문제도 있다”며 “국가 간 블록화가 진행되면서 신냉전의 양상도 보이고 있으며 이런 양상은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증폭됐다”고 진단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국제사회로부터)많은 역할을 요구받는다”며 “우리가 보람을 갖고 자부심 느낄 수도 있으나 그만큼 부담감은 커졌다”고 미국과 EU를 비롯한 서방국가들의 대 러시아 제재 동참에 따른 고뇌를 토로했다.

그러면서 “고도의 지혜가 필요하고 범부처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나아가 이런 작업을 위해 NSC와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연석회의, 국방부와 과기부 기술협력 등 지금의 거버넌스를 안정적이고 상시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 대해 청와대의 핵심 관계자는 “7개월 전부터 준비를 해 온 것”이라며 “정부 교체 시기에 안보에 취약해질 수 있는데, 무엇을 중점적으로 대응해야 할지 알려주면 다음 정부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취지에서 마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날 회의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세부적 사안이나 북한의 최근 동향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국가안보실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긴급 현안조정회의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