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오동준 기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민간인의 대피를 위한 인도주의 통로를 개설하고, 이곳에서 일시적으로 휴전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3일(현지시간) 벨라루스 브레스트에서 열린 러시아와 2차 평화회담에서 “인도적 지원 투입과 민간인 대피를 위한 통로를 확보하는 데 양측의 이해가 있었다”며 “통로 주변에서 일시 휴전 실시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미하일로 포돌랴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고문은 “많은 도시가 포위돼 인도주의적 측면을 집중 논의했다”며 “민간인 대피 경로를 확보하는 곳에서는 주민들이 이동하는 시간에 일시 휴전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교전이 격화되는 지역에 의약품과 식량을 보급할 필요성에 관해서도 양측이 공감대를 이뤘다”며 “조만간 인도주의 통로 운영을 위한 연락·조율 채널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우리가 바라던 합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러시아 측 대표단장은 이번 회담이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며 “전투지역의 민간인들은 빨리 대피하라”고 말했다.
다만 “양측의 궁극적인 요구사항에 관한 정치문제는 아직 추가 협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양측은 조속한 시일 내 3차 회담을 열 것으로 전해졌다.
AP통신에 따르면 이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양측 최고 지도자가 만나 모든 문제를 풀자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담판을 제안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나는 물지 않는다, 당신은 무엇을 무서워 하는가”라며 “어떤 말도 총탄보다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세를 멈추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며 “현재 우크라이나 영토에선 우리 병사와 장교들이 러시아를 위해, 돈바스 주민들의 평화로운 삶을 위해, 우크라이나의 탈나치화와 탈군사화를 위해 싸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러시아군은 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부 도시 헤르손을 점령한 것으로 외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이고르 콜리하예프 헤르손 시장이 “무장한 세력들이 시 행정을 장악했고, 이제 시민들은 러시아군의 명령에 따라야 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크림반도와 가까운 전략적 요충지로 꼽히는 헤르손은 우크라이나의 주요 도시 중 러시아에 점령당한 첫 도시가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