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리는 '제1회 국제방산전시회'에 참가했다고 7일 밝혔다. (사진=현대로템 제공)
현대로템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리는 '제1회 국제방산전시회'에 참가했다고 7일 밝혔다. (사진=현대로템 제공)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현대로템이 K2전차를 선봉으로 내세워 중동 방산시장 공략에 나선다.

현대로템은 지난 6일부터 나흘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리는 ‘제1회 국제방산전시회(WDS)’에 참가했다고 7일 밝혔다.

전 세계 45개국, 800여개 방산업체가 참여한 WDS에서 현대로템은 중동형 K2전차를 비롯해 다목적 무인차량(HR-셰르파), 장애물개척전차, 차륜형장갑차 등을 전시했다.

현대로템에 따르면 중동형 K2전차는 사막에 최적화된 맞춤형 전차로, 섭씨 50도를 웃도는 중동의 폭염에서도 전차 운용이 원활하도록 엔진·조종석 내부의 냉각성능을 높였다.

또 포탑에는 차광막을 설치했으며, 전차 바퀴를 둘러싸는 부품인 궤도에 특수 고무 재질을 적용해 고온에서도 문제없는 주행이 가능하다.

전차 외관도 사막 지형에서 높은 은폐 효과를 낼 수 있는 황색으로 도색했다.

현대로템은 다목적 무인차량에도 미래 전장 환경을 고려한 첨단기술을 적용해 전시했다.

이 차량은 배터리가 탑재된 6륜 전기구동방식으로 엔진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감시·정찰 업무를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여기에 원격주행과 병사를 따라 기동하는 종속주행, 경로를 알아서 이동하는 자율주행 등 다양한 무인운행 능력을 겸비했다.

이밖에도 전장의 지뢰·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애물개척전차, 보병부대의 기동성·행동성을 향상시킬 차륜형장갑차도 함께 선보였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최근 노르웨이 등 유럽에서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는 K2전차를 포함한 무인차량 등 현대로템의 방산 제품군이 중동에서도 많은 홍보가 이뤄져 운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사우디는 ‘비전 2030’을 발표하며, 서방에 대한 안보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2030년까지 군비 지출의 50% 이상을 자국 업체에 쏟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사우디는 해외 방산 선진기술의 도입이 절실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이번 WDS도 사우디 국방부·방사청과 함께 국영 방산업체 SAMI 등이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향후 격년으로 개최할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