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외부 전원 없이도 정밀유도포탄에 탑재할 수 있는 고출력 열전지가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됐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8일 ‘충격 활성식 소형 고출력 열전지’ 원천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 열전지는 포탄의 발사 충격에 따라 자체적으로 작동해 외부 전원을 연결해야만 포탄에 탑재할 수 있었던 기존 열전지의 단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게다가 크기는 작아진 대신 출력까지 높아져 정밀유도포탄의 타격 정밀도를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
정밀유도포탄에 이 열전지를 탑재하면 무기체계의 핵심 부품인 위치확인시스템(GPS), 관성측정장치(IMU) 등에 전원 공급이 가능해 정밀도를 높이고 사거리를 늘리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ADD는 설명했다.
ADD는 이 열전지에 대해 중력 가속도의 3만 배 이상의 큰 발사 충격에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전한 것이 확인됐다며 “향후 정밀유도 포탄체계와 차세대 지능탄 등에 적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ADD는 지난 2018년부터 방위사업청 핵심기술사업으로 이 열전지의 개발을 진행해 5년여만에 개발에 성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