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이 최근 잇달아 도발한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언론성명 채택이 중국·러시아의 반대로 7일(현지시간)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한미일 등 11개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을 규탄하고, 중국과 러시아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유엔 안보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비공개회의를 열었으나 미국 등이 앞장서 추진했던 언론성명 채택은 무산됐다.
한국과 미국, 일본, 영국 등 11개국 유엔대사는 이날 같은 곳에서 열린 유엔 안보리 비공개회의 뒤 발표한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천명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는 대표로 낭독한 이날 성명에서 “위험한 불법 행위를 한 목소리로 규탄할 것을 촉구한다”며 “모든 회원국이 북한에 관한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계속 북한과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를 추구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면서도 “북한이 불안정 행위의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안보리는 계속 침묵을 지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안보리가 아무 행동도 하지 않으면 북한 문제에 대한 안보리 자체의 신뢰성을 해칠 뿐 아니라 글로벌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킨다”며 “안보리는 명백하고 거듭된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할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성명 발표 후 “중국과 러시아도 오늘 여기 합류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며 중국과 러시아를 향해 동참을 촉구했다.
한편, 미국은 잇단 미사일 도발을 감행하는 북한을 향해 외교적 해법을 재차 촉구했다.
존 커비 미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를 두고 ‘불필요한 도발’로 규정하며 “우리는 북한이 이 미사일 발사와 도발을 중단하고 (미국과) 마주 앉을 의향이 있다는 신호를 보내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오는 4월 15일 김일성 전 주석 생일을 전후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와 같은 도발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어 국제사회의 우려는 한층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