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윤석열 당선인 측이 대통령 집무실의 국방부 청사 이전을 두고 청와대가 안보 공백 우려하며 사실상 반대 의사를 표명한 데 대해 “안보 공백은 분명히 없다”며 새정부 출범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청와대가 21일 “준비되지 않은 국방부와 합참의 갑작스런 이전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의 이전이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 입장을 적극 반박한 것이다.
대통령직 인수위 ‘청와대 이전 TF’ 팀장인 김용현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은 22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한마디로 대통령 집무실을 국방부 청사로 이전한다는 그 과정에서 안보 공백은 분명히 없다”고 밝혔다.
김 팀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안보 공백이 있다면 분명히 어떤 안보 공백이 있는지를 얘기해야 되는 거 아닌가”라며 “아무런 얘기도 없이, 근거도 없이 안보 공백이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아울러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하는 과정에서 군사대비태세의 핵심 부서가 합참이고, 합참은 이전하지 않는다”며 “그대로 그 위치에서 현재의 대비태세를 유지하는데도 안보 공백을 운운하면서 국민들께 불안감을 조성해서 호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팀장은 아울러 “있지도 않은 안보 공백을 운운하면서 이렇게 자꾸 새 정부 정책에 대해서, 출발에 대해서 이렇게 방해를 하는 그런 행위”라며 “어떻게 보면 국민의 뜻을 좀 저버리는 건 아닌가 저는 그렇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팀장은 이어 문 정부를 향해 “그동안 북한이 수십 차례의 미사일 발사를 통해서, 도발을 통해서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협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 정부가 도발을 도발이라 말하지 않았지 않았나”며 “잘 확인도 안 되는 방사포를 쐈다고 갑자기 NSC를 소집하고 안보 운운하는 이 자체가 굉장히 저는 역겹다”고 안보를 말할 자격을 따져 물었다.
김 팀장은 아울러 “새 정부의 정상적인 출범을 방해하고 있는 그런 느낌을 받았다”며 “이 자체가 그들이 지금까지 해 왔던 그 행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김 팀장은 이와 함께 “현 정부에서 이렇게 협조를 해주지 않으면 방법은 없다”며 “계속 협의를 해 나갈 예정”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그러면서도 “이게 골든타임이라는 게 있다”며 “이전할 수 있는 시간이 최소한의 시간이 이번 주라고 생각한다”고 문재인 정부를 압박했다.
김 팀장은 또 대통령 집무실 이전 예산과 관련 “전체적으로 아무리 들어가도 5000억원 미만으로 들지 않겠느냐 저는 그렇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김병주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주장하는 1조원대보다는 적은 비용이지만 윤 당선인이 지난 20일 기자회견에서 ‘기재부 제출 자료’라며 밝힌 496억원보다는 약 10배 가량 많은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