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에 대해 맞대응 제안을 미국 측이 거부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를 부인했다.
정 장관은 2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긴급 현안보고에서 “우리가 주한미군에 함께 화력 대응을 하자고 했는데, 주한미군이 거절했다는 것이 사실이냐”는 의원 질의에 “사실과 다르다고 본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한미 간에는 항상 상시적으로 소통하고 있고, 우리 연합방위태세를 과시하는 것도 한미 간 충분히 사전에 조율이 된 것”이라며 “우리 군에서 발사한 현무-II 지대지 미사일 같은 것도 한미 공조하에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북한이 지난 24일 ‘화성-17형’이라고 주장하는 ICBM을 발사하자 한국군은 단독으로 ‘원점 타격’을 염두에 두고 지상·해상·공중 합동 타격 훈련으로 대응한 바 있다.
이와 관련 경향신문은 합참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청와대 (국가)안보실 지시를 받은 원인철 합참의장이 폴 러캐머라 주한미군 사령관 겸 한미연합사령관에게 맞대응 실사격을 요청했지만, 러캐머라 사령관이 펜타곤 지시를 이유로 연합 실사격 훈련을 거절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미 국방부가 이 같은 결정을 했던 이유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북정책 강경 기조에 동의하지 않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아울러 북한이 신형 ICBM 발사로 모라토리엄을 파기했지만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실패라고 보지는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정부가) 북한을 잘못 판단하고 대응해 현재의 결과를 초래했다”는 김석기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
정 장관은 이어 한미 군 당국이 북한이 지난 24일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화성-15형’이라고 잠정 결론을 내린 데 대해 “한미 정보당국에서 여러 정보를 바탕으로 정밀 분석 중”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정 장관은 조태용 국민의힘 의원이 북한 발사 ICBM이 화성-17형인지 화성-15형인지 확실히 해 달라는 질의에 대한 답변을 통해서다.
북한이 또 지난 2017년 발사한 화성-15형과 비교해 이번에 발사한 ICBM의 고도와 비행시간이 모두 늘었다는 지적에 대해 “반드시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며 “탄두 중량에 따라서는 얼마든지 조정 가능하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앞으로도 북한이 추가적으로 상황을 악화시켜 나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면서 국제사회와의 공조 노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특히, 한미동맹 및 한·미·일 3국 간 안보협력을 바탕으로 유엔 안보리 차원의 강력한 조치를 이끌어내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