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외교부장관 후보자인 박진 국민의힘 의원이 18일 서울 종로구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 첫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윤석열 정부 외교부장관 후보자인 박진 국민의힘 의원이 18일 서울 종로구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 첫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윤석열 정부 외교부 장관에 내정된 박진 국민의힘 의원이 새 정부의 대북정책에 ‘압박’과 ‘설득’이라는 투 트랙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또 문재인 정부 5년 동안의 대북 정책이었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해선 “취지에도 불구하고 한계를 드러냈다”며 폐기하겠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박 후보자는 18일 서울 종로구 내수동의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 첫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북한에 대해 압박과 설득으로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과 관련 “나름대로 노력은 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북한이 여기에 제대로 호응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2019년 2월 하노이 회담이 불발로 끝난 이후 대화를 거부하고 핵과 미사일 위협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지금의 유화정책만으로는 북한의 계속된 도발을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북한에 대해 실질적 정책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지난 16일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시험발사한 사실을 언급하며 “북한이 한반도 안보 상황을 고조시키는 것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역행하는 일”이라며 “윤석열 정부는 북한에 대해 상식이 통하는 균형 있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정책 변화를 거듭 예고했다.

그는 또 윤 당선인 취임 직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과 관련 “아직 한미 정상회담의 일정이나 의제나 이런 것은 확정된 것도 없다”면서도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고, 국제정세가 급변하고 있기 때문에 조기에 한미 정상회담을 할 필요성이 있다”고 원론적 입장을 피력했다.

이와 관련 윤석열 정부의 한미협력 과제로 ‘북핵 위협에 대한 긴밀한 공조’를 비롯해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른 경제안보·기술동맹 추진’ ‘기후변화·코로나19 등 글로벌 파트너십 추진’ ‘우크라이나 민주주의·평화·독립을 위한 노력’ 등을 꼽았다.

윤 당선인의 공약인 미국·일본·호주·인도 4개국의 비공식 안보협의체 쿼드(Quad) 참여 여부에 대해선 “워킹그룹을 통해 코로나19나 기후변화, 신흥기술 분야에서 한국의 참여범위를 확대해 가는 것을 모색하는 게 필요하다”고 단계적 가입 추진 구상을 재확인했다.

그는 민감한 한중 관계 전망에 대해 “경제‧통상, 문화교류, 전략소통 면에서 중국은 중요한 나라”라며 “중국과 관계 역시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일관계와 관련해서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등을 위해 협력할 부분이 많다”며 “미국과 공통의 동맹을 맺고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양국 관계가 불편하면 양쪽이 모두 손해”라며 관계 개선 의지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