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는 중앙방공통제체계의 핵심인 '능동항적 추적기술'을 국내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미지=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 제공)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는 중앙방공통제체계의 핵심인 '능동항적 추적기술'을 국내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미지=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 제공)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적 항공기 탐지정보를 자동으로 추적·관리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 국내 개발됐다.

국방과학연구소(ADD) 부설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와 LIG시스템은 중앙방공통제체계의 ‘능동항적 추적기술(Active Trachking)’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중앙방공통제체계는 다수의 장거리 레이더로부터 수신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처리해 한반도 상공을 비행하는 항공기를 자동으로 식별·추적·요격 관제하는 체계다.

‘능동항적 추적기술’은 방공레이더로부터 수신한 표적 탐지정보를 실시간 분석해 항적(Track)으로 확정하고 자동 추적·관리할 수 있는 중앙방공통제체계의 주요 기술이다.

센터에 따르면 이 기술은 해외 의존도가 높은 비공개 기술이었다.

센터는 “이 기술의 개발을 통해 레이더에서 수신된 탐지정보를 표준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해 장비 간 원활한 연동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위경도·UTM 등 다양한 좌표계로 위치정보를 변환하는 기능을 개발해 정보의 활용성을 높였고, 다수의 탐지정보를 분석해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적 항공기의 급기동·편대비행·교차비행에 대한 추적 알고리즘도 제공해 각 상황에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센터 관계자는 “군과 연구개발 기관 간 긴밀한 협조를 통해 운용환경을 고려한 신뢰도 높은 능동항적 추적기술을 확보했다”며 “향후 독자적인 중앙방공통제체계 개발 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