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앤 뉴버거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사진=AP연합뉴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앤 뉴버거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사진=AP연합뉴스)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북한이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개발 자금 조달을 위해 사이버 범죄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미 백악관 고위 당국자가 밝혔다.

앤 뉴버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19일(현지시간) “북한이 WMD 개발 자금 조달에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이날 뉴욕 외신기자클럽이 주최한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유엔과 미국이 대대적으로 부과하고 있는 제재를 회피하면서 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필요한 재원을 창출하기 위해 사이버 범죄 등 불법적인 활동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주 미국 정부가 거액의 암호화폐 해킹의 배후로 북한과 연계된 해커 조직을 지목한 것, 또 미 재무부가 암호화폐 이더리움에서 도난당한 자금이 들어있던 지갑 주소를 추가 제재 목록에 올린 사실을 거론하며 “이는 다른 행위자들이 관련 자금을 이동하거나 해당 계좌와 거래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같은 사례들은 북한이 무기 프로그램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탈취와 해킹 등 어느 수준으로 암호화폐를 불법적으로 이용하는지 잘 보여준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북한의 사이버 위협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대중에 공개하기에 앞서 인도‧태평양 동맹들과 정보를 공유했다”며 “향후 동맹국들과 북한의 불법적인 암호화폐 사용과 같은 활동에 대응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인도‧태평양 동맹들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견고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명목화폐 세계에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자금세탁방지제도가 암호화폐 세계에도 도입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이와 관련 미국이 지난해 10월 “랜섬웨어에 대응하는 이니셔티브를 발족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