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취임 후 사용할 새 관저로 서울 용산구 한남동 현 외교장관 공관을 사실상 확정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취임 후 사용할 새 관저로 서울 용산구 한남동 현 외교장관 공관을 사실상 확정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집무실의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에 따른 새 관저로 한남동 외교장관 공관이 사실상 확정됐다.

이에 따라 애초 관저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됐던 국방부 청사 인근 육군참모총장 공관은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배현진 윤 당선인 대변인은 24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 브리핑에서 “보안, 경호, 비용, 공기 등 여러 가지를 감안해 새로운 곳(외교장관 공관)을 공관으로 사용하기로 사실상 결정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현 외교장관 공관은 대지 1만4710㎡(약 4450평)으로 축구장 2개 넓이에 건물 1434㎡(약 434평) 규모다.

윤 당선인 측이 새 관저로 외교장관 공관을 낙점한 배경으로 역대 외교장관들이 계속 거주해 그동안 관리·보수가 지속적으로 이뤄져 예상 리모델링 기간이 한 달 정도로 비교적 짧은데다 외빈 접견 시설이 갖춰져 있고 경호에도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배 대변인은 이어 윤 당선인 부인 김건희 여사가 외교장관 공관을 방문한 뒤 결정됐다는 보도와 관련 “(결정) 이후 (김 여사가) 방문한 것이지, 먼저 가서 낙점해서 공관을 변경하는 데 고려했다는 점은 오보”라고 설명했다.

멀리서 바라본 외교장관 공관.(사진=연합뉴스)
멀리서 바라본 외교장관 공관.(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새 공관 선정 과정에서 김 여사의 새 관저 방문을 두고 영향설을 제기했었다.

민주당 조오섭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장관 거주용일 뿐 아니라 내외빈 접대 행사로도 쓰이는 외교자산”이라며 “어떤 대안이나 협의도 없이 윤 당선인이 갑자기 ‘내가 쓸테니 나가라’고 내쫓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집무실도 광화문에서 용산으로 변경됐고, 관저도 바뀌면서 ‘졸속 이전’이라는 비난 여론이 들끓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

허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관련 논평에서 “민주당은 ‘공관 쇼핑’, ‘소원 풀이’ 등의 자극적인 단어를 동원해가며 공격에 나섰다”며 “전형적인 선동정치이며 여론을 호도하는 행태”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관저를 옮기는 데에 있어서 실제로 거주할 당선인의 배우자가 유력 검토되는 후보지를 둘러보는 것이 대체 무엇이 문제인가”라고 반문했다.

대통령직인수위의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도 서면 입장문을 내고 “대통령 관저 이전 작업은 주민 불편, 소요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이날 인수위 사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저 확정을 앞두고 외교부와 협의가 안 됐느냐’는 등의 질문에 “집무실 이전의 경우 외교부와 합의할 사항이 아닌 것 같다”며 “TF에서 여러 대안을 놓고 준비하고 있던 사안이라 외교부 반응에 저희가 응답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도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외교장관 공관이 관저로 확정되기 전 김 여사가 방문했느냐’는 질문에 “외교장관 공관을 관저로 하기로 많은 참모들이 얘기를 한 것”이라며 “그렇게 기사가 나가면 안 된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의 새 관저 입주는 그러나 리모델링에 시간이 걸려 취임 후 약 한 달 가량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배 대변인은 윤 당선인이 새 관저 입주 전까지 서울 서초동 자택에서 용산 현 국방부 청사 새 집무실로 출‧퇴근을 하는 것과 관련 “아침과 저녁 출퇴근 시간을 고려해 일반 시민들에게 불편이 없도록 최선의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며 “모의연습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애초 새 관저로 검토했던 육군참모총장 공관은 1975년에 지어져 건물이 낡아 리모델링에만 약 4∼5개월 가량이 걸릴 것으로 예상돼 제외됐다는 것이 윤 당선인 측의 설명이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