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오동준 기자] 국회 국방위원회는 9일 이종섭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군사작전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 전략적 리더십을 갖췄다” 며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여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국방위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경과보고서 채택의 건을 상정해 이같이 의결했다.
국회는 이날 채택된 경과보고서에서 이 후보자에 대해 “39년간의 군 복무 기간 동안 주요 지휘관과 참모직을 거쳤다"며 “투철한 국가관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부의 국방운영 방향을 구현하는 데 요구되는 자질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이 국가안보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에도 소신 있는 답변을 하지 못하는 등 일부 부족함이 지적됐다”며 “향후 국방부 장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인사청문 과정에서 지적된 점을 유념해 부단히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국방위는 부대 의견으로 국방부 1차 이사 종료 즉시 용산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 현안보고를 시행하는 것도 명시했다.
국회 국방위원장인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안보 공백, 시민 권리 제한, 군 사기 저하, 추가 소요 비용에 대해 확인이 필요하다”고 부대 의견 취지를 밝혔다.
앞서 여야는 4일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 안보관과 도덕성을 놓고 첨예한 신경전을 벌였었다.
용산 집무실 이전에 따른 안보 공백 우려,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 국방과학연구소(ADD) 자문위원 당시 작성한 보고서의 표절 논란 등이 주요 쟁점이었다.
특히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일 인사청문회에서 “집무실 이전에 따라 군사, 안보, 망 공백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으며, 같은 당 안규백 의원도 “용산 동빙고동 군인아파트가 윤석열 정부 청와대에 일부 빼앗기고 이전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느냐”고 질의한 바 있다.
이에 이 후보자는 “집무실 이전의 정확한 논의 과정을 모르는 상황에서 직언을 드릴 위치는 아니라고 본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안보 공백 가능성과 관련해 “여러 가지 번거로움, 혼란스러움, 불편함이 있다”면서도 “군사적으로 볼 때 대비태세에 별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한편 윤 당선인 측은 인사청문회가 끝난 정호영(보건복지부), 원희룡(국토교통부), 이상민(행정안전부), 박보균(문화체육관광부), 박진(외교부), 이종섭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 보고서를 이날까지 재송부해달라고 국회에 요청한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