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오후 한국을 방문한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평택캠퍼스) 시찰을 마친 뒤 연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오후 한국을 방문한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평택캠퍼스) 시찰을 마친 뒤 연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첫 만남에서 반도체 기술동맹과 공급망 문제에 대한 협력을 강조했다.

한미 양국 정상은 20일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평택캠퍼스) 시찰을 끝내고 공동연설을 진행했다.

먼저 연설에 나선 윤 대통령은 “오늘 바이든 대통령의 평택 캠퍼스 방문은 반도체가 갖는 경제·안보적 의미는 물론, 반도체를 통한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한미 동맹의 오랜 역사처럼 한미 반도체 협력의 역사 또한 매우 깊다”며 “작년 말 출범한 ‘한미 반도체 파트너십 대화’를 통해 반도체 공급망 협력은 물론, 투자·인력·기술 협력사업도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는 우리 미래를 책임질 국가안보 자산이라고 생각하면서 과감한 인센티브와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바이든 대통령을 향해 “우리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투자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및 미국의 첨단 소재·장비·설계 기업들의 한국 투자에도 큰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오늘 방문을 계기로 한미 관계가 첨단기술과 공급망 협력에 기반한 경제 안보 동맹으로 거듭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연설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연설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도 “이번 방한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며 “우리 양국이 많은 기술적 혁신을 함께 협력해 이어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화답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양국이 기술동맹을 통한 경제 안보 협력을 위해 노력할 때 앞으로 더 많은 발전이 기대된다”며 “한미 동맹 강화야말로 아태지역 및 전 세계의 안정과 평화 번영에 굉장히 중요하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또 삼성의 기술력을 칭찬하며 “한국은 세계 최첨단 반도체 생산 복합 라인을 갖고 있어 설계 생산에 있어서 한국이 많은 우위를 갖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간 기술 동맹으로 세계가 더욱 발전할 것이라 생각한다”며 “우리가 기술적 노하우를 공유하면서 양국에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반도체 칩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고, 이것이 글로벌 경제에 핵심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동맹 간 공급망 협력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소비재, 특히 자동차를 비롯한 소비재 공급이 부족하다”며 “우크라 사태로 공급망이 더욱 교란됐다”고 우려했다.

이어 “국가 안보는 가치관을 공유하고 상호 신뢰하는 국가끼리 더욱 더 보호를 해야 한다”며 “한국과 저희와 가치를 공유하는 동맹국들과 함께 공급망 회복력 문제를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오후 경기도 오산공군기지에 도착해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서 내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오후 경기도 오산공군기지에 도착해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서 내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방한은 취임 후 첫 아시아 순방, 첫 번째 행선지라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오후 5시 22분경 전용 공군기 에어포스원 편으로 오산 미 공군기지에 도착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 등이 기지를 찾아 정부를 대표해 바이든 대통령 일행을 맞이했다.

2박3일간의 첫 일정으로 바이든 대통령은 오후 6시 11분경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평택캠퍼스)을 방문해 윤석열 대통령과 만났다.

두 정상은 22초간 서로 악수한 손을 놓지 않고 미소를 지으며 인사말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경기도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을 방문해 윤석열 대통령과 첫 만남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경기도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을 방문해 윤석열 대통령과 첫 만남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미 정상이 인사와 기념촬영을 끝낸 후 서병훈 삼성전자 부사장은 이들에게 곧 양산에 돌입하는 차세대 GAA(Gate-All-Around) 기반 세계 최초 3nm(나노미터) 웨이퍼 배치 반도체 시제품을 소개했다.

삼성전자의 3나노미터 공정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의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안내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직접 담당했다.

오후 6시 56분경에 시작한 두 정상의 공동 시찰은 오후 7시 18분경 종료됐다.

이날 공동 시찰 일정에는 한국 측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100여명이 함께했다.

미국 측에선 지나 러만도 미 상무장관, 제이크 설리번 미 국가안보보좌관 등 50여명이 동행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에 앞서 오후 5시 54분경 공장 사무동에 도착했다.

취임 후 첫 산업현장을 공식 방문한 윤 대통령은 “진작에 왔어야 했는데”라고 말하며 이 부회장의 영접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에서 이재용 부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에서 이재용 부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