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일 순방에서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압박 수위를 더 높이고 돌아가자마자 중‧러 군용기들이 떼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을 드나드는 일이 벌어졌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군은 24일 7시 56분쯤 이어도 서북방 126㎞에서 카디즈에 진입한 중국 H-6 폭격기 두 대를 포착했다.
이 폭격기들은 이곳에서 약 1시간 40분간 가량 비행을 하다 오전 9시 33분쯤 물러났다. 또 러시아 군용기 투폴레프(TU-95) 폭격기, 전투기 두 대도 이곳에서 9시 58분쯤부터 약 17분 가량 머물렀다.
중‧러 군용기들의 카디즈 진입은 이날 오후에도 이어졌다.
군 당국은 오후 3시 40분쯤 이어도 동남쪽 267㎞ 떨어진 카디즈 외곽에서 중‧러 군용기 6대를 다시 포착했다.
이번에 카디즈에 진입한 중‧러 군용기들은 양국의 연합훈련에 자주 참가했던 기종들이다.
중‧러는 지난해 11월 20일에 군용기 9대를, 2020년 12월 22일에는 19대를 각각 카디즈에 진입시킨 바 있다.
카디즈는 우리 영공에 접근하는 군용기를 조기에 식별하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선으로, 영공 바깥 상공이다.
이번 중‧러 군용기들의 카디즈 진입은 미국이 한미‧미일 정상회담과 쿼드(Quad, 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협의체) 정상회의,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출범 등을 통해 중‧러에 대한 견제와 압박을 강화하는 가운데 발생한 것이어서 맞대응 차원의 무력시위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우리 군은 카디즈 진입 전부터 공군 전투기를 투입해 우발 상황에 대비한 전술 조치를 취했다”며 “영공 침범은 없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25일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의 카디즈 진입과 관련 외교 채널을 통해 두 나라에 항의하고 재발방지를 요청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중국·러시아 군용기가 카디즈(KADIZ)에 진입한 것에 대해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과 러시아 측에 유감을 표명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중국·러시아 군용기의 카디즈 진입에 대해 국방부와 관련 정보를 공유하면서 긴밀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