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6일(현지시간)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채택을 하지 못했다. 안보리 회의 모습. (자료 사진=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6일(현지시간)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채택을 하지 못했다. 안보리 회의 모습. (자료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26일(현지시간) 표결에 부쳐졌던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결의안 채택이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결국 무산됐다.

유엔 안보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회의를 열어 북한의 원유, 정제유 등 유류의 수입 상한선을 줄이는 내용을 골자로 한 결의안 표결에서 이사국 15개국 중 13개국의 압도적 찬성을 얻었다.

결의안 채택 가결에 필요한 9개국 찬성표를 훌쩍 넘겼으나 예상대로 중‧러의 거부권 장벽에 막혔다.

안보리 결의안 채택은 15개 이사국 중 9개국 이상이 찬성하고, 이와 함께 5개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가능하다.

이번 결의안은 북한이 올해 들어 잇따라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한 데 대응해 미국 주도로 추진됐다.

이 결의안은 지난 3월 초안을 마련한 후 안보리에서 논의를 이어오다 지난 25일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포함해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하자 5월 안보리 의장국인 미국이 앞장서 이날 서둘러 표결에 부쳐졌다.

이날 안보리가 대북 제재안 표결에 나선 것은 지난 2017년 12월 22일 결의안 2397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한 이후 처음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향후 열리는 유엔 총회에서 거부권 행사 이유를 공개적으로 밝힐 것으로 보인다.

유엔 총회가 지난달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총회에서 해당 문제를 토론해야 한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한 데 따른 것이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