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오동준 기자]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중국에 대해 “국제질서에 가장 심각한 장기적 도전”이라며 동맹국들과 협력해 중국을 견제할 것이라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조지워싱턴대학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 전략’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중국은 국제질서를 재편하려는 의도와 이를 수행할 경제·외교·군사·기술적 힘을 갖춘 유일한 국가”라면서 “중국의 비전은 지난 75년간 이뤄진 세계의 진보 가운데 많은 부분을 지탱해온 보편적 가치로부터 우리를 멀어지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의 변화는 국제질서가 제공한 안정성과 기회에 의해 가능했다”며 “중국이 지구상 어느 나라보다도 많은 혜택을 누렸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중국은 성공을 가능하게 한 법과 합의, 원칙, 기구를 강화하기 위해 힘을 사용하기보다는 이를 훼손하고 있다”며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 하에서 중국공산당은 중국 내 더 억압적이고, 해외에서 더욱 공격적이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 주석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푸틴과 연대한 것, 남중국해에서 불법적인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일 기간 이 지역에 전략폭격기를 보낸 행위 등을 비판했다.
블링컨 장관은 “우리는 중국이 궤도를 바꿀 것이라는 기대에만 의존할 수 없다”며 “자유롭고 포용적인 국제 시스템을 위한 비전을 발전시키기 위해 중국을 둘러싼 전략적 환경을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 전략을 투자, 동맹, 경쟁 등 세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먼저 “우리의 강점인 경쟁력, 혁신, 민주주의와 같은 토대에 투자할 것”이라며 “우리는 공동 목표와 명분으로 행동하면서 동맹과 파트너라는 우리의 네트워크를 갖고 노력을 일치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런 두 핵심 자산을 활용해 우리의 이익을 보호하고 미래를 위한 비전을 구축하기 위해 중국과 경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이런 노력들이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블링컨 장관은 “우리는 충돌이나 신냉전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이 둘 모두를 피하려는 것”이라며 “주요 강대국으로 중국의 역할을 봉쇄하거나 중단시키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미중 양국의 이익이 겹치는 부분에서는 중국과 협력하겠다며 북핵 문제 해결 등을 예로 들었다.
그는 “중국과 미국은 이란·북한 핵 프로그램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일하고, 다른 나라들과도 그렇게 해야 한다”며 “우리는 핵보유국으로서 각자의 책임에 대해 중국과 직접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