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김규현 신임 국가정보원장이 27일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수여받고 공식 임기를 시작했다.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5층 소접견실에서 진행된 김 원장 임명장 수여식에는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신인호 국가안보실 2차장, 복두규 인사기획관 등이 참석했다.
김 원장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는 전날(26일) 여야 합의로 채택됐다.
여야는 김 원장의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을 두고 적격과 부적격으로 의견이 갈려 이를 각각 병기하는 방식으로 합의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김 후보자의 자질이나 이력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적격 의견을 냈으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다수가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국회 정보위 야당 간사인 김병기 민주당 의원은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은 하되 민주당에서는 비공개 이후로 부적격 의견을 종합적으로 냈다”며 “국민의힘도 적격 의견을 당연히 냈고, 민주당 의원 중에서는 일부 적격 의견을, 다수가 부적격 의견으로 인사청문보고서는 채택은 됐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앞서 지난 25일 국회 정보위 인사청문회에서 ‘정권이 우선인지 국가가 우선인지 선택의 기로에 처했을 때 어떻게 하겠느냐’는 홍기원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윤 대통령은) 만일 국정원장이 된다면 절대로 국내정치에 관한 것은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고 국회 정보위원들이 전했다.
김 원장은 그러면서 “앞으로 국정원의 국내정치 개입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원장은 윤 대통령 측근이나 국정원 내부 인사가 아닌 직업 외교관 출신이다.
김 원장은 박근혜 정부 출범 직후인 2013년 3월 외교부 1차관으로 승진한 뒤 1년만인 2014년 2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을 맡으면서 청와대로 근무지를 옮겼다.
이후 청와대에서 국가안보실 1,2차장, 외교안보 수석 등을 거치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까지 승승장구했다.
김 원장은 그러나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처벌은 받지 않았지만 박근혜 정부 때 청와대에서 세월호 사고 보고 시각 조작에 관여한 의혹을 받았으며, 이런 이력 때문에 이번에 정보기관 수장에 발탁되자 야당의 반발을 샀었다.
김 원장은 당시 세월호 참사에 대한 대통령 보고·지시 시간과 대통령 훈령인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을 조작하는 데 관여한 혐의로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 등과 함께 검찰 수사를 받은 바 있다.
김 원장은 당시 국회 세월호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출석해 “박근혜 대통령이 오전 10시에 첫 보고를 받았고 10시 15분 첫 지시를 내렸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검찰 수사 결과 박 전 대통령이 첫 보고를 받은 시점은 사고 발생일 오전 10시 20분이고 김장수 당시 국가안보실장에게 첫 전화 지시를 내린 것은 10시 22분쯤인 것으로 드러났다.
박주민 민주당 의원은 정계 입문 전 세월호피해자가족협의회의 법률대리인으로 활동했던 기억을 들어 김 원장 내정 당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세월호 사건 보고 시간 조작 혐의로 인터폴 적색수배까지 내려져 인천공항에서 체포됐던 분”이라며 “참 말문이 막힌다”고 비판했었다.
서울 출신인 김 원장은 경기고와 서울대 치의학과를 졸업하고 대학 재학 중 외무고시 14회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했다.
외교부에서 북미1과장, 북미국 심의관, 주미 한국대사관 참사와 공사 등을 거친 정통 외교관 출신으로 외교부의 핵심 인맥인 북미 라인으로 분류된다.
외교부 내에서는 리더십과 대외 협상력, 위기관리 능력이 뛰어나고 국가 안보에 대한 전략적 마인드를 겸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대중 정부 때 대통령 비서실에서 파견 근무를 했으며, 노무현 정부 때는 국방부 국제협력관으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등 한미 간 국방 현안을 다룬 경력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