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미국 국무부가 북한의 7차 핵실험 며칠 내 실행 가능성을 제기하며 미국과 한국, 일본 등 동맹과 파트너의 다자 대응을 예고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며칠 내로 7차 핵실험을 모색할 가능성에 여전히 우려한다”며 “이는 우리가 한동안 경고했던 우려”라고 말했다.
그는 “이것은 우리가 계획을 세워온 긴급 사태”라며 “동맹과 파트너와 함께 단합된 논의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최근 신규 대북 제재에 거부권을 행사하는 상황에서 ‘미국이 독자적으로 행동하는 방안만 남았느냐’는 질문에 “여전히 다자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와 관련 “독자 행동은 절대로 가장 매력적이거나 효과적인 대응책이 될 수 없다”며 “특히 우리는 양자와 삼자 협력을 할 수 있는 가까운 동맹인 일본과 한국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인도·태평양을 넘어 세계 곳곳의 동맹과 파트너들이 북한이 제기하는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의 위협을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지난 6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수도 빈에서 열린 IAEA 이사회에서 “풍계리 핵실험장의 갱도 중 하나가 재개방된 징후를 관찰했다”며 “이는 핵실험을 위한 준비일 수 있다”고 밝힌 데 대한 논평 요청에 “북한이 도발의 시기에 있다”고 거듭 언급했다.
그는 또 “북한의 다수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한다”며 “이러한 발사는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북한의 이웃 국가들과 국제 사회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우리는 북한에 대한 외교적 접근법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며 “북한이 관여와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정부 출범 초기부터 외교와 대화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우리의 공통 목적을 진전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 왔다”며 “우리는 북한에 적대적 의도가 없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비공개적으로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이 대화에 나서지 않아서 북한이 도발에 나선다’는 중국의 주장에 대한 논평 요청에 북한과 대화 의지를 다시 확인했다.
그는 유엔 대북 제재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에 대해서는 “북한에 책임을 추궁할 다른 수단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와 관련 “우리의 정책은 북한과 대화와 관여를 추구하는 것”이라며 “우리에게 대화의 부재에 대해 책임을 묻는 나라가 있다면, 이는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거나 거짓을 퍼트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에 대한 철통같은 공약이 있다”며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이 오는 8일 서울에서 한국, 일본 외교차관들과 양자 대화와 삼자 대화에 참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성 김 대북특별대표가 북한의 가장 최근 미사일 발사 직후 한국, 일본 측 상대와 접촉한 사실을 언급하며 “이러한 조율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이 제기하는 도전에 대응하는 한미일 3국의 결단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진전 방안이 3국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남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 스스로의 권한도 있고 파트너와 동맹과 함께 조율할 수 있는 권한도 있다”며 “역내 파트너들과 방어와 억지에 함께 협력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