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3일~17일(현지시간) 열리는 유로사토리(Eurosatory) 2022에 전시된 레드백 장갑차 모습. (사진=한화디펜스 제공) 
6월 13일~17일(현지시간) 열리는 유로사토리(Eurosatory) 2022에 전시된 레드백 장갑차 모습. (사진=한화디펜스 제공) 

[국방신문=양기반 기자] 한화디펜스가 유럽에서 처음으로 레드백 장갑차 실물을 선보이며 시장공략에 들어갔다.

한화디펜스는 6월 13일부터 17일(현지시간)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국제 방산전시회 ‘유로사토리(Eurosatory) 2022’에 참가한다고 13일 밝혔다.

유로사토리는 프랑스 국방부와 지상장비협회가 2년마다 주최해 전 세계 1800여 개의 방산기업과 5만7000여 명의 관람객이 찾는 유럽 최대 규모 국제 방산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레드백 장갑차가 유럽에 첫 실물을 보이는 자리다.

레드백은 지난해 호주 육군의 최종 시험평가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지난달 국내에서 육군 시범운용을 했었다.

레드백은 호주 육군의 보병전투장갑차 도입을 위한 ‘LAND 400’ 3단계 사업의 최종 2개 후보 중 하나로 올라있는 상태다.

한화디펜스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 각국에선 험지 돌파 능력이 뛰어난 궤도형 장갑차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레드백은 이런 관심 동향에 부합하는 최신 보병전투장갑차로, 적의 대전차 미사일 공격을 먼저 감지하고 무력화시킬 수 있는 ‘능동방어 시스템’까지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한화디펜스는 K9 자주포, 타이곤 차륜형 장갑차, K21 장갑차, 비호-Ⅱ 방공시스템 등을 전시한다.

K9A2 자주포 모형. (사진=한화디펜스 제공)
K9A2 자주포 모형. (사진=한화디펜스 제공)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 K9A2 형상이 첫 공개된다.

K9A2는 국방과학연구소와 개발 중인 K9 자주포의 최신 업그레이드 모델이다.

자동화포탑의 탑재로 분당 발사속도는 늘리면서 탑승병력은 줄일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한화디펜스는 영국의 MFP(Mobile Fires Platform) 자주포 획득 사업에 자동화포탑, 복합소재 고무궤도, 원격사격통제체계 등이 적용된 K9A2 모델을 제안할 계획이다.

앞서 한화디펜스는 지난 4월 27일~28일 창원사업장에서 노르웨이, 핀란드 등 K9 자주포 도입 국가들의 교류의 장인 ‘K9 유저클럽(User Club)’ 첫 행사를 개최해 K9 자주포의 운용성과 신뢰성 강화, 상호 협력 및 지원 방안을 모색했으며, 개발 중인 K9A2 고반응화포 플랫폼 견학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손재일 한화디펜스 대표는 “세계 각국 고객들에게 레드백, K9 자주포를 비롯한 한화디펜스의 경쟁력 있는 제품·솔루션을 적극적으로 마케팅해 K-방산 수출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