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돼 한국을 세계 7대 우주강국 반열에 올려놨다. (사진=공동취재단)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돼 한국을 세계 7대 우주강국 반열에 올려놨다. (사진=공동취재단)

[국방신문=양기반 기자]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 및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우주로 날아올랐다.

이번 2차 발사 누리호에는 기능이 없는 모사체(더미) 위성만 실렸던 1차 발사와 달리 성능검증위성과 4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됐다.

누리호는 이날 발사 직후 정해진 비행 시퀀스에 따라 이륙 후 123초(2분 3초)경 고도 62㎞에서 1단 분리에 성공하고, 227초(3분 47초)에는 고도 202㎞에서 발사 위성 덮개(페어링)를 분리한 데 이어 269초(4분 29초)에는 고도 273㎞에서 2단을 각각 분리했다.

이후 오후 4시 13분께 3단 엔진이 정지되며 목표 궤도에 도달했고 발사 후 875초(14분 35초)만에 질량 162.5㎏짜리 성능검증위성(큐브위성 포함)을, 945초(15분 45초)에는 1.3t짜리 위성 모사체를 각각 분리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오후 5시 10분께 나로우주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대한민국 과학기술사뿐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의 기념비적인 순간에 섰다”며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선언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중공업 등 300여 항공 우주 관련 기업이 각자 전문성을 바탕으로 엔진 제작부터 체계 조립, 발사대 건설까지 프로젝트 전 과정에 동참하며 누리호의 성공을 이끌었다.

이날 세계 7대 우주강국 진입을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민간 주도 우주산업 시대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