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 서훈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미국행을 두고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관광 비자로 급히 미국에 나갔다”고 도피성 도미 의혹을 제기해 공방이 벌어졌다.
국민의힘 ‘해양수산부 공무원 피격사건 진상조사 태스크포스(TF)’ 단장을 맡은 하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지난 2020년 9월 이 사건 발생 직후 국방부가 사건 당사자인 고 이대준 씨의 ‘월북 시도’로 입장을 바꾼 것과 관련 “서주석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을 포함해 서훈 전 실장이 사실 배후였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하 의원은 “그분(서훈 전 실장)이 최근 미국에 가 있다”며 “제가 제보를 받았는데 원래 연구원 활동을 하려면 J-1 비자로 나가야 하는데 관광 비자로 급히 나갔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하 의원은 당시 국방부 입장이 바뀌게 된 경위에 대해 “국방부는 (2020년 9월) 24일 청와대 회의를 하고 나서 '(북한이) 시신 소각 만행을 저질렀다'고 24일 공식화한다”며 “그런데 25일 북한에서 ‘자기들은 시신 소각을 안 했다, 부유물 소각이었다’고 한 전통문이 내려온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하 의원은 이어 “27일 청와대 안보실 사무처 명의로 국방부로 ‘단정하지 말라’는 지침이 내려온다”며 “그래서 국방부가 입장이 바뀐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국방부에서 “확정할 수 없는데 너무 강하게 이야기했다며 죄송하다 사과까지 한다”며 “그분(서훈 전 실장)이 주재한 회의에서 변화가 있었다”는 것이다. .
그러면서 서 전 실장을 향해 “서훈 그분이 입장을 밝히면 된다”며 “아무런 입장 발표를 안 하고 침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서 전 실장이) 문제가 불거진 후에 지금 출국을 했다는 얘기인가‘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왜 연구원 활동을 하는데 연구원 비자도 안 받고 관광비자로 급히 갔는지 이상하다”며 “그것보다도 하도 죄 지은 게 많아서 정권 바뀌면 바로 미국 가겠다고 생각한 것 같다”고 의혹을 이어갔다.
서 전 실장은 이에 대해 이날 언론에 배포한 입장문을 통해 “이전에 정해진 미국 싱크탱크 초청으로 미국에 머물고 있다”고 도피성 미국행 의혹을 부인하며 “사실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해서 필요한 협조를 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 전 실장은 이 사건과 관련 “경위와 관계없이 발생해서는 안될 불행한 일에 대해서는 매우 유감스럽고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씨 사건 발생)당시 원칙에 어긋남 없이 최선을 다해 조치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사실 규명과 관련 “정확한 사실관계가 있는 그대로 명명백백하게 밝혀지기를 원한다”며 “필요하다면 그렇게(귀국) 해야하지 않겠나”라고 언제든지 귀국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