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부 장관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내신기자 대상 정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박진 외교부 장관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내신기자 대상 정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박진 외교부 장관은 한일관계와 관련해 “양국 간 현안의 합리적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상호 편리한 시기에 저의 일본 방문 등 관련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장관은 11일 내신기자 대상 정례 기자회견에서 “일본과는 과거를 직시하면서 공동이익과 가치에 부합하는 미래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방일 일정 추진과 관련한 질문에 박 장관은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일정을 조율하고 있었는데, 아베 전 총리의 피격 사망이라고 하는 충격적인 일이 발생했다”며 “앞으로도 계속 일본 측과 방일 일정에 대해 조율을 해나갈 예정”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국내 사정을 감안해 편리한 시기에 방문할 것을 기대한다”며 “일본 방문이 이뤄지면 한일 간 여러 가지 현안 문제들과 신뢰 회복을 위한 그런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또 자위대 설치 근거를 헌법에 명기하는 개헌이 적극적으로 추진되면 한일관계가 어려워지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박 장관은 즉답을 피하며 “일본의 국내 정국 상황에 대해서는 예의주시하면서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일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의 국내 정치 문제에 대해서는 제가 뭐라고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다만 일본이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갈 것인지는 저희들이 예의주시해야 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겸 자민당 총재가 지난 10일 도쿄 자민당 당사에서 선거 결과가 나온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EPA 연합) 
지난 10일 일본 참의원 선거 결과가 나온 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겸 자민당 총재가 도쿄 자민당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EPA 연합) 

앞서 10일 치러진 일본 참의원(상원) 선거는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가 이끄는 집권 자민당의 압승으로 끝났다.

이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의 피습 사망이 보수표의 결집을 부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자민당은 이번 선거에서 헌법에 자위대 명기 등을 포함한 개헌을 조기에 실현한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이와 관련 기시다 총리는 선거날인 지난 10일 밤 현지 방송에 출연해 “(개헌) 발의를 위해 3분의2 결집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며 “가능한 빨리 발의해 국민투표로 연결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아울러 박 장관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를 촉발한 2018년 대법원 판결에 대해 “우리 정부로서는 일단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한다는 입장”이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사자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할 민관협의체를 가동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민관협의에서 일본 전범기업 국내 자산 현금화 해법 도출이 가능할지에 대해선 “일본에서는 지금 현금화를 가장 우려하고 있다”며 “현금화가 이뤄지기 전에 바람직한 해결 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