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김한규 기자] 방위사업청은 31일 차기호위함 2차 사업(울산급 Batch-II)의 두 번째 함정인 ‘경남함’을 해군에 인도한다고 밝혔다.

경남함은 2016년 10월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를 시작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정부의 방역지침을 준수하며 외교부, 해군, 기품원 및 조선소 등 관련 기관과 혼연일체로 연내 적기 인도하게 됐다.

울산급 Batch-II 사업은 해군에서 운용 중인 노후화된 호위함과 초계함을 대체할 2800t급 최신 호위함을 국내 기술로 건조하는 사업이다.

기존 호위함 및 초계함에 비해 수상함·잠수함 표적에 대한 탐지, 공격능력과 대공 방어능력을 크게 향상한 전투함으로, 각종 탐지장비(탐지⋅추적 레이더, 음파탐지기)와 주요 무장(대함⋅대지 유도탄, 장거리 대잠어뢰, 함포), 그리고 탐지장비와 무장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지휘통제를 자동화한 전투체계까지 국산화해 탑재했다.

<경남함 형상 및 기본 제원>

형상 및 기본 제원(그림=방사청제공)
경남함 형상 및 기본 제원.(사진=방사청 제공)

특히, 울산급 Batch-II부터는 기존 기계식 추진체계(디젤엔진+가스터빈) 방식에서 소음이 작은 복합식 추진체계(추진전동기+가스터빈)를 적용했으며, 구축함에만 탑재해왔던 예인선 배열 음탐기와 장거리 대잠어뢰를 탑재하는 등 울산급 Batch-I에 비해 대잠능력이 크게 보강됐다.

정삼(해군 준장) 전투함사업부장은 “스텔스 설계 적용 및 대잠능력이 향상된 경남함을 해군에 인도함으로써 해역함대 주력 전투함으로 활약이 기대되며 각종 무장과 전투체계 국산화를 통해 국내 방위 산업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방위사업청은 현재 경남함에 이어 차기호위함 3~8번 함을 건조 중이며 2023년까지 해군에 인도하게 될 8척의 차기호위함(울산급 Batch-II)이 대한민국의 해양안보를 한층 더 강화하는 주역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남함 능력 및 주요 임무>

경남함 능력 및 주요 임무.(사진=방사청 제공)
경남함 능력 및 주요 임무.(사진=방사청 제공)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