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유엔이 최근 엘리자베스 살몬 페루 출신 국제법학자를 신임 북한인권특별보고관으로 임명한 것에 대해 북한이 이 제도를 ‘정치적 모략 도구’라며 폐지를 주장하고 나섰다.
북한 외무성은 12일 ‘조선인권연구협회 실장 김일철’ 명의로 “한시바삐 폐지돼야 할 나라별 ‘특별보고자’ 제도”라는 제목을 글을 올려 “우리 공화국의 영상(이미지)을 깎아내리고 사회주의 제도를 전복해보려는 흉심으로부터 적대 세력들이 고안해낸 정치적 모략 도구”라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은 이어 역대 북한인권특별보고관들을 향해 “한 짓이란 우리의 인권 향유 실상을 왜곡하는 모략 자료들을 꾸며내고 국제인권 무대에서 반공화국 대결 분위기를 고취한 것 뿐”이라며 “특별보고자 제도는 미국과 서방이 자주적인 몇몇 나라들을 표적으로 하여 조작한 인권의 정치화, 선택성, 이중기준의 산물로서 많은 나라들의 강력한 반발과 규탄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라고 비난했다.
북한은 또 “유엔 성원국들을 평등하게 취급하는 보편적 인권 상황 정기 심의제도가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서방이 아직까지 시대착오적인 나라별 '특별보고자' 제도를 고집하는 것은 그들이 ‘인권’을 다른 나라들에 대한 간섭과 압박의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실증한다”면서 “미국과 서방의 꼭두각시에 불과한 조선 인권상황 ‘특별보고자’ 자리에 누가 올라앉든 그를 인정조차 하지 않는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유엔은 지난 6월 엘리자베스 살몬 교수를 제50차 유엔 정기 인권이사회에서 이사국 승인을 받아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후임으로 임명했다.
오는 8월 임기를 시작하는 살몬 특별보고관은 앞으로 6년간 북한의 인도주의 위기를 조사하고 인권 개선안 마련을 촉구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지난 4월 유엔에 제출한 지원서에서 자신을 “남미 출신 여성학자”라고 소개하며 “국가 권위주의가 초래하는 결과와 정의를 위한 피해자들의 투쟁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며 “차기 보고관은 북한의 인도적 위기를 철저히 조사하고 북한 당국과 대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의욕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