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펀트 워크' 훈련 중인 F-35A 스텔스 전투기. (사진=연합뉴스)
'엘리펀트 워크' 훈련 중인 F-35A 스텔스 전투기.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정부와 군이 F-35A 스텔스 전투기 20대 추가 도입을 추진한다.

방위사업청은 15일 제145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어 ‘F-X 2차 사업추진기본전략안’ 등 5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방사청에 따르면 F-X 2차 사업은 공군의 노후 전투기 도태에 따른 전력 공백 최소화, ‘킬체인’ 핵심전력 보강, 전방위 위협에 대한 억제력 강화가 목적이다.

한국형 3축 체계의 한 축인 킬체인은 선제타격을 포함해 북한 미사일을 탐지해 요격하는 일련의 작전 개념으로, F-35A는 킬체인의 핵심전력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날 방추위 의결 내용과 군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스텔스 전투기는 F-35A 1종뿐이다.

이에 오는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약 3조9400억원을 투입해 F-35A 전투기 20대 가량을 추가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우리 공군은 40대의 F-35A 전투기를 운용 중이다.

사업타당성조사와 구매계획을 통해 구매안이 최종 확정되면, 공군의 F-35A는 60대 내외로 늘어날 전망이다.

또 방추위에선 이날 육군이 운용하는 노후 CH-47D 헬기를 대체할 대형기동헬기를 국외 구매로 확보하는 ‘대형기동헬기-Ⅱ 구매계획 수정안’이 의결됐다.

이를 통해 방사청은 안전한 임무수행 보장, 대규모 수송능력 확보, 국가 재해·재난 대응력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이 사업에 올해부터 2028년까지 총 사업비 약 1조4000억원이 투입된다.

‘K9 자주포 2차 성능개량(Block-Ⅰ) 사업추진기본전략안’도 같은날 방추위를 통과했다.

이는 K9 자주포 포탑의 송탄·장전을 자동화해 신속한 타격능력을 보강하고 전투 효율성을 향상하려는 사업이다. 2023년부터 2034년까지 총 사업비 약 2조3600억원이 소요된다.

아울러 공지통신무전기 성능개량(항공전력)과 관련, 체계개발기본계획안과 국외구매계획(9종)도 의결됐다. 이 사업에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약 1조3400억원이 책정됐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