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윤석진 기자] 해군 구축함 ‘최영함’이 3시간 가량 통신 두절된 사고가 지난달 5일 발생했으나 뒤늦게 알려진데다 군 최고 수뇌부인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김승겸 합참의장은 보고도 뒤늦게 받은 것으로 드러나 정치적 논란이 벌어졌다.
이 장관은 1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지난달 5일 발생한 최영함 통신 두절 사건과 관련 실시간 보고를 받았는지 묻는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제가 (오늘) 아침에 보고를 받았다”며 “(실시간)보고를 못 받았다”고 시인했다.
이 장관은 관련 조사를 하고 있느냐는 이어진 질의에 “직접 지시를 못 했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같은 날 오후 국회 국방위에서 이 사건 관련 질의가 다시 나오자 “다시 확인해보니 이미 해군작전사령부에서 전비태세검열단을 보내 조사 중”이라고 추가 설명했다.
각군의 작전부대를 작전 지휘·감독하는 군령권을 가진 김 합참의장도 이날 같은 자리에서 해당 사건을 보고받은 시점을 묻자 “지난주(7월 24~30일)에 받았다”고 답변했다.
지난주를 시작하는 날인 24일에 보고를 받았더라도 사건 발생 후 20일이 지난 시점이다.
이와 관련 통영함의 통신두절 사건이 언론 보도를 통해 처음 알려진 날짜가 지난달 28일이어서 김 의장이 이 보도를 전후해 최영함의 통신두절 사건을 보고받았을 것이라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군에 따르면 충무공 이순신급 6번함 최영함은 지난달 5일 새벽 서해에서 훈련을 마치고 기지로 복귀하던 중에 통신이 두절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최영함은 사고 발생 후 소속 부대인 해군 제7기동전단이 여러 통신 수단을 동원해 교신을 시도해 3시간만에 통신이 이뤄져 무사히 기지로 돌아왔다.
사고 발생 후 해군 7기동전단은 당일 해군작전사령부에, 해군작전사령부는 다시 합참 작전본부에 정상적으로 각각 보고했다.
해군 전비태세검열단은 이 사고의 원인과 재발 방지책을 찾기 위해 조사에 착수했다.
군은 최영함이 통신이 끊기는 이른바 음영지역에 진입했으나 함정 담당 장병 실수로 통신망을 전환하지 않은 데 따른 사고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국회 국방위에서 논란이 된 것은 이 사건이 이 장관과 김 의장에게 즉시 보고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이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에서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결과를 보고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