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아미타이거 전투실험에 투입된 우리 군의 첨단 전력들. (사진=육군 제공)
육군 아미타이거 전투실험에 투입된 우리 군의 첨단 전력들. (사진=육군 제공)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각 군이 개발 중인 무인전투체계들의 중복개발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김성진 한국국방연구원(KIDA) 연구위원은 3일 열린 제61차 국방아젠다포럼에서 ‘무인체계 국방분야 활용 현황과 과제’ 주제 발표를 통해 무인체계 개발이 컨트롤타워 기능이나 로드맵 없이 각 군에서 독자적으로 추진되는 문제점을 거론했다.

김 위원은 “현 무인체계 사업은 각 군이 독자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플랫폼 및 기술개발 중복 가능성이 상존하고, 대량 획득 시 기술·산업적 파급력이 큰데도 다품종·소량 위주 구매로 노하우 축적과 경제 유발 효과가 미미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안으로 ‘국방 무인체계 소요 종합계획 수립’과 ‘국방 무인체계 핵심기술 로드맵’ 작성을 제안했다.

김 위원은 또 “군이 도입하는 무인체계 핵심기술과 부품은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를 명확하게 양분하기 어려운 상황임에도 기존의 분류체계에 따라 전력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무기체계 사업은 기술개발이 빠른 4차 산업 특성을 제때 반영하지 못하고, 전력지원체계 사업은 소요기획, 사업관리, 연구개발 전문성 축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정제령 KIDA 연구위원도 ‘유무인 복합 및 무인 전투체계를 활용한 작전수행개념 발전방향’ 주제 발표에서 “각 군의 미래전 개념은 합동작전에 대한 고려가 미흡해 군이 미래 유·무인 복합체계를 적용할 때 각 군 영역에 대한 불분명한 정의나 자의적 해석에 근거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선적으로 합동 전장에서 유·무인 복합체계를 포괄할 수 있는 ‘합동기본개념’ 작성이 필요하다”며 “이를 바탕으로 각 군의 유·무인 복합체계 관련 개념들을 조정 및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는 국방 무인체계 전문가를 비롯해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각 군 정책당국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