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경기도가 ‘공론화 사업’의 첫 의제로 선정한 수원 군 공항의 화성 화옹 지구 이전을 두고 수원과 화성 지역 주민 간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지는 분위기다.
화성지역 시민사회단체 중심으로 결성된 수원전투비행장화성이전반대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8일 화성시청 앞 모두누림센터에서 수원 군 공항 이전 대응 관련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공론화 사업 선정에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도내 해묵은 숙제인 수원 군 공항의 원만한 화성 이전을 위해 도민 참여형 사회문제 해결 방안으로 내놓은 공론화 사업이 첫 발도 떼지 못한 채 난관에 부닥친 모습이다.
이날 열린 범대위 회의에는 화성지역 민·관·정 관계자 40여명이 모여 경기도가 공론화 사업의 첫 번째 의제로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를 선정한 것에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이 자리에는 홍진선 범대위 상임위원장과 김경희 화성시의회 의장, 남병호 화성시 군공항이전대응담당관, 장한철 화성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홍성규 화성노동인권센터 소장 등이 참석했다.
범대위는 또 경기도 공론화 의제 선정에 대한 반대 입장 공식 표명 외에 ‘시민사회단체를 포함한 확대 협의체 구축’ ‘화성시장과 긴밀한 협의·통일된 행동’ ‘화성시 전역에서 홍보 강화’ 등 앞으로 더 조직적인 반대 행동에 나서기로 해 갈등이 심화될 전망이다.
홍진선 범대위 위원장은 “경기도가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를 공론화 의제로 선정한 것은 화성시민의 의사를 철저히 무시한 것”이라며 “과연 이것이 경기도의 사무가 맞는가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고 김 지시와 경기도청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홍성규 소장은 “공론화 의제 선정도 문제지만 지방선거 직후 정명근 화성시장이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국제공항 검토 가능성을 내비친 것부터가 더 큰 문제”라며 “범대위의 활동도 중요하나 화성시와 긴밀히 협의해가면서 통일된 입장과 행동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앞서 지난 3일 민관협치위원회를 열어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를 공론화 사업 첫 번째 의제로 선정해 공식 발표했다.
김 지사는 지난 6월 지방선거 과정에서 수원 군 공항 이전과 경기국제공항 추진을 공약한 바 있다.
수원군공항은 명칭과 다르게 화성시에 걸쳐 있으며, 전투기 등의 이착륙에 따른 소음과 고도 제한 등에 따른 공동 피해자로서 군 공항 이전에 같은 목소리를 내왔으나, 이전 후보지로 화성시 화옹지구로 결정되면서 갈등 관계로 돌아섰다.
이에 대한 유력한 해법 중 하나로 경기 남부 통합국제공항 건설이 거론돼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