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과거에 공개한 순항미사일 발사 장면.(자료 사진=노동신문)
북한이 과거에 공개한 순항미사일 발사 장면.(자료 사진=노동신문)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북한이 지난 17일 순항미사일 2발 발사 장소를 우리 군 당국이 발표한 평안남도 온천이 아니라 안주시라고 주장해 혼선이 빚어졌다.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19일 윤석열 대통령의 ‘담대한 구상’ 제안 거부 입장을 밝히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실린 “허망한 꿈을 꾸지 말라”는 제목의 담화에서 발사 장소와 관련 “온천 일대가 아니라 평안남도 안주시의 ‘금성다리’였음을 밝힌다”고 언급했다.

군 당국은 지난 17일 “평안남도 온천에서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2발을 발사한 것을 탐지했다”고 밝혔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순항미사일의 구체적인 제원 등은 밝히지 않았다.

순항미사일은 속도·고도·비행거리 등 제원 자체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 탄도미사일과는 달리 최고 속도 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북한 평안남도 안주와 온천은 직선 거리로 약 90㎞ 가량 떨어져 있는 곳이다.(출처=구글 위성 지도)
북한 평안남도 안주와 온천은 직선 거리로 약 90㎞ 가량 떨어져 있는 곳이다.(출처=구글 위성 지도)

안주와 온천은 같은 평안남도에 속해 있지만, 평양을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한 안주시는 서남쪽에 있는 온천과 직선거리로 90㎞ 이상 떨어져 있다.

북한이 이 담화에서 생뚱맞게 미사일 발사 장소를 거론하며 “어째서 발사시간과 지점 하나 제대로 밝히지 못하는지”라고 말해 한미 군 당국의 북한 미사일 탐지·추적 능력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려는 의도로 보인다.

김 부부장은 남한 군 당국을 향해 “늘쌍 한미 사이의 긴밀한 공조 하에 추적감시와 확고한 대비태세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외우던 사람들”이라며 “참으로 안됐지만 하루 전 진행된 우리의 무기시험 발사 지점을 남조선당국이 서투르고 입빠르게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무기체계의 제원은 왜 공개하지 못하는지 참으로 궁금해진다”며 “제원과 비행자리길이(비행거리) 알려지면 남쪽이 매우 당황스럽고 겁스럽겠는데 이제 저들 국민들 앞에 어떻게 변명해나갈지 정말 기대할만한 볼거리가 될 것”이라고 비아냥댔다.

북한의 이런 주장에 대해 군 관계자는 “한미 정보 당국의 평가는 변동이 없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또 북한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정보 분석 내용을 추가로 공개하는 것은 정보자산 노출과 북한의 의도에 휘말릴 우려가 있어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한미 군 당국이 과학적 정보감시 자산을 바탕으로 포착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로 자신감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